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돼요. 대표적인 방법은 물을 뿌리는 거예요. 이건 연소하는 물질의 발화점 온도를 낮추는 원리지요. 물은 비열*이 매우 큰 물질로, 열에너지를 잘 흡수해요. (*비열 : 어떤 물질 1g의 온도를 1℃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그래서 불이 붙은 물질에 물을 뿌리면 열에너지가 줄면서 온도가 내려가고, ... ...
- [특집] 두 장, 더 깨끗한 화장실, 더 빨리 이용하기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다만 이 식은 다소 복잡한 데다 최댓값을 찾기 위해서는 미적분을 알아야 하므로 오늘은 원리만 알고 넘어가기로 해요. 확률식을 풀면 k 값은 n/e으로 구해져요. 1/e≒0.3679이므로 역시 전체의 약 37%를 열어본다는 결론에 이르네요! 긴 화장실 줄 줄이는 방법깨끗한 화장실을 찾는 것도 중대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발견됐지만 여전히 바이러스의 구조를 예측하고 분류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 쓰이고 있습니다. 물론 바이러스의 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해서 바로 치료제를 만들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당장 전세계를 괴롭히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역시 이미 그 구조를 알고 있지만, 백신이나 치료제를 ... ...
- 방구석 마술 원데이클래스, 수학을 알면 트릭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마술과 그 속에 숨겨진 수학적 원리를 가르쳐드립니다. 마술을 배워 친구에게 보여주고 원리를 응용해 새로운 수학 마술을 만들어보세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방구석 마술 원데이클래스, 수학을 알면 트릭이 보인다Part1. [기획] 수의 성질이 곧 트릭! 숫자 마술Part2. [기획] 세거나 ... ...
- [기획] 수의 성질이 곧 트릭! 숫자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포인트예요. 그러면 2는 4로, 4는 4로 갈 테니 손가락이 늘 4에 놓이는 거죠!신기한 마술의 원리가 누구나 알고 있는 홀수와 짝수의 성질이었다는 게 놀랍죠? 한 가지 성질로도 다양한 마술을 할 수 있으니 수업이 끝나고 나만의 숫자 마술을 만들어보세요 ...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없습니다. 화성에 가는 탐사선에 탑재된 특수 카메라도 우리가 쓰는 일반 카메라와 작동 원리는 같습니다. 다만 화성에서는 햇빛의 양이 적기 때문에 어둡게 나오진 않을지 걱정입니다. 3. 탐사기지(집)이유 : 화성에서 내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전인수 : 화성에서도 당연히 사람이 살 집이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알엑스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증상 완화에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졌다. 어떤 원리인지, 중독 부작용은 없을지 살펴봤다. 인데버 알엑스, 주의력 향상 임상에서 합격점 인데버 알엑스는 호버보트를 타고 진행하는 레이싱게임이다. 길을 따라 이동하며 함정이나 장애물을 피하고, 갑자기 ... ...
- [스쿨리포트 A+] 쉽고 재미있게 과학 영상 소개하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보조선을 그려 설명합니다. 수학과 과학시간에 이미 배워 알고 있는 ‘무게 중심’ 원리인데, 발표 자료에 많은 글을 담지는 않았지만 영상 덕분에 쉽게 설명한 사례입니다. 과학 영상 소개 자료를 만들 때는 최대한 간결한 어구나 문장으로 작성하며, 발표자는 영상의 장면과 여기에 포함된 과학적 ... ...
- [기획] 역원을 알아야 풀린다! 끈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마술을 본 적 있을 거예요. 이런 마술은 특수한 끈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수학적 원리를 이용해 쉽게 풀리도록 꼰 뒤 푸는 것이기도 하죠. 이번 시간에는 손가락에 감은 끈을 한 번에 풀리도록 꼬는 방법을 배워볼게요.먼저 끈이 꼬인 상태를 숫자로 나타내는 방법부터 알아볼 텐데, 이때 곱셈의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183도의 액체산소를 사용하는데, 날씨가 춥다고 발사할 수 없다는 것은 발사체의 작동원리와 운영과정을 모르는 데서 오는 오해였다. 수많은 논란을 매일매일 해명해가며, 우리 연구원들은 도전적인 연구를 한다는 것이 정말 고통스럽고, 실패하면 한없이 비참해진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