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빠르게 항체를 형성해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독감 예방을 위해 맞는 백신이 바로 이런
원리
다. 병원성을 낮춘 항원을 몸에 주입해 미리 기억 T림프구와 기억 B림프구가 생성되도록 돕는 것이다.그렇다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항원이 아니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정상세포가 암세포가 돼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방식은 바이러스 자체를 접종하는 백신이다. 최초의 현대적인 백신인 우두법도 이
원리
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결과였다.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는 1798년 증상이 천연두에 비해 비교적 약한 우두에 한 번이라도 걸린 사람은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 점을 이용해 우두바이러스를 직접 접종하는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기 때문이다. 핵산 백신의 개발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도 한계다. 백신의 작동
원리
만 보면 예상되는 부작용은 적지만,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럼에도 핵산 백신은 차세대 백신으로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 국내 제약회사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
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면역반응을 일으키며 항체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단일클론항체는 세포 밖에서도 만들 수 있다. 특정 항체를 암세포와 융합하는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대부분은 이런 식으로 복제하는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다. 크릭이 제안한 중심
원리
와 정반대로 RNA에서 역방향으로 DNA를 만들어내는 바이러스도 있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가 속한 레트로 바이러스가 대표적이다.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에이즈)을 유발하는 HIV는 단일가닥의 RNA지만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기본
원리
는 면역세포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면역세포는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내는데, 이렇게 대응하기까지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면역세포가 미리 항원을 경험하고 이에 대항할 항체를 체내에 만들어놓을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게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알 수 있어 큰 힘이 됩니다. 분석에 필요한 딥러닝 알고리듬을 만들 때도 수학적인
원리
를 적용하면 빠르고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답니다. 대학교에서 선형대수학을 잘하셨나요?사실 제가 가장 싫어하는 과목이 선형대수학이었어요. 살아가면서 다시는 만날 일이 없을 거라고 생각할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암세포에서 자라면 기존 항암제가 이를 인식하고 암세포만 공격해 없애게 하는
원리
다. 항암 바이러스로 인해 세포가 사멸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가 항암 바이러스에 감염돼있는 덕분에 기존 항암제가 이를 더 잘 인식할 수 있어 치료 효과는 배가 된다.한 예로 2018년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미국 ... ...
Chapter 05. 노벨상┃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상자들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
를 밝히다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_ 피터 찰스 도허티 호주 멜버른대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도네가와는 인체가 다양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유전적
원리
를 밝혔다. 항원에 해당하는 병원체가 몸속에 침입하면, 우리 몸속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항체를 생성해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항원에 꼭 맞는 항체가 생성된다.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