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주도"(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용·약용으로 쓰이는 자원식물과학동아 l1986년 04호
- 피는 자웅이주(雌雄異株)이며, 덩굴성 다년생 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경남 제주도 울릉도 등에 자생하고 있다.밝혀진 성분을 보면 사포닌의 유사성분, 인, 마그네슘, 철, 캐로틴, 토코페롤 등이 함유돼 있고 그 약리효과가 매우 좋다. 엽차의 대용으로 항시 마실 수 있는데 미국 일본 ... ...
- 제주도의 열대과일, 에떻게 기르고 있나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익은 시점에서 따가지고 우리나라까지 오므로 맛과 신선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아뭏든 제주도의 열대성 식물, 그중에서도 과일은 특유의 환경조건을 십분 이용해 성공적으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셈인데, 이같은 평가는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살펴보면 쉽게 입증된다.70년대말에 처음 ...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 따개비류의 분포상태를 감안한다면 한국 연해해역을 동물지리학상으로 동해 남해 서해 제주도의 4구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며 동해와 남해의 경계는 영일만, 남해와 서해의 경계는 목포근해가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은 요즘 한반도에서 살고 있는 동물들이다 .그렇다면 과거에는 어떤 ... ...
- 조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없지만 남한 지역을 기산지(基産地)로 해서 발표된 특산아종은 15종류에 이르며 울릉도와 제주도에서 발표된 6아종을 제외하고도 9종류나 된다. 왜가리 한국참수리 올빼미 청딱다구리 뿔종달 붉은머리오목눈이 휘파람새 검은뺨오목눈이 물까치 등 품종이다.크낙새는 일본 대마도에서 잡아 그곳을 ... ...
- 양서·파충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가 된다. 개구리류 중 무당개구리는 냉수성 종류로 산간계류의 고인 물에서 생활하며 제주도에서는 백록담에서만 서식하는데 역시 우리나라가 분포 남한계가 된다. 과거에는 일본 대마도에서 서식하였으나 1970년 이후에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두꺼비류에는 두꺼비와 물두꺼비 2종이 있는데 이중 ... ...
- 곤충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위로 그어진 청색 띠가 있는 아름다운 나비이다. 우리나라 남부의 다도해 연안지대와 제주도 울릉도 흑산군도와 기타의 다도해 제도에 분포하며 일년에 두번 성충이 출현한다. 첫번째는 4월에서 5월에 두번째는 7월에서 8월에 출현한다. 은판나비이 나비는 네발나비과에 속하는 나비로서 날개표면은 ... ...
- 동굴과학동아 l1986년 02호
- 알려졌던 미국의 싱글라바시스템(1만1천3백44m)을 능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제주도에는 세계최장의 단일화산동굴과 화산동굴시스템이 있을 뿐 아니라 발견된 화산동굴만도 60여개소에 달하고 있고, 동굴 내부의 지형지물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이 화산동굴은 화산이 분출될 때 그 용암이 ... ...
-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됐나과학동아 l1986년 02호
- 전의 지층에서는 고래뼈 규화목 유공충 조개 등의 화석이 포항 부근에서 발견되고 제주도의 서귀포층에서는 3백만년 전에 살던 조개 완족류 산호 등의 화석이 나오고 있다 ... ...
- 암석과학동아 l1986년 02호
- 제249호)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전포동 황령산 기슭 동의대학 부근의 구상반려암, 제주도 서귀포 부근의 서귀포지층이 그것이다. 이렇게 아름답고 지질학적으로 귀중한 암석들이 우리 나라의 도처에서 많이 발견되다는 것은 우리 국토의 자랑이요, 우리 민족의 귀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 ...
- 산과학동아 l1986년 02호
- 등으로 미루어 백두화산의 활동 종말기는 가까운 역사시대까지 계속된것이 확실시된다. 제주도 화산은 최종활동이 지금으로부터 약 1천년전에 있은 것으로 역사에 기록되어 있기때문에 한라산은 휴화산이다. 백두화산은 그 활동의 역사상 기록이 분명치 않지만 여러가지 사실로 보아 한라산과 ... ...
이전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