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주도"(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Ⅱ 사례로 본 4차원과학동아 l1989년 04호
- 이론상 우리는 공간의 어디라도 갈 수 있다. 서울에 사는 사람은 자기 의사로 대전이나 제주도에 가는 것이 가능하다. 하와이나 파리라도 좋다. 심지에는 달에 가는 일도 가능해졌고 더욱 기술만 발달하면 화성이나 금성에도 갈 수 있다. 또는 지구를 꿰뚫고 그 속으로 갈 수도 있을 것이다. 생물의 ... ...
- 현장학습 경험 되살려 주입식 교육 탈피 노력과학동아 l1989년 03호
- 교사경력 2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이번 행사에 참가하게 되어 행운이라 생각합니다. 아마 제주도 내에서 유일한 지구과학 교사라는 점이 이유라면 이유겠지요. 여기에 올 때 생각은 탐사라기 보다는 확인학습이라고 생각해 가벼운 마음을 갖고 왔읍니다. 학교 다닐 때도 느낀 것이지만 탐사는 ... ...
- 바다 속의 검은 황금 찾기과학동아 l1989년 03호
- 시추한 것은 모두 18개 구멍이다. 서해에 2개공, 남해에 2개공, 동해에 5개공을 뚫었고, 제주도 남쪽의 동지나해에는 9개공을 시추했다. 이들중 가장 깊은 시추공은 동지나해에서 뚫은 것으로 4천4백86m의 깊이를 갖는다. 땅속을 수직으로 십리 이상 뚫고 들어간 셈이다.18개중 두개의 시추공에서 가스를 ... ...
- 계획대로 된다면 1995년에 과학위성 발사과학동아 l1988년 11호
- 건설돼야 함은 물론이다.제주도 남쪽에 발사장 건설국내최초로 로킷을 발사할 장소로는 제주도 남쪽의 모슬포나 마라도 부근이 적합할 것으로 거론되고 있다. 약 1백만평의 크기가 될 발사장은 1990년대 초반 또는 중반부터 5년간에 걸쳐 건설될 것으로 보이는데 추적관제시설 발사관련 시설 ... ...
- 가르치는 사람, 현장 경험 많아야과학동아 l1988년 09호
- 못해 꺼림직했는데, 이번 기회로 조금은 해소된 것 같습니다.김동 울릉도 식물을 제주도 식물과 비교해보니 대체로 잎이 넓거나 마디가 길어 개량종처럼 보였읍니다. 아마도 자연조건이 좋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비를 맞는 등 강행군해서 얻은 채집품을 학교로 가지고 가 학생들과 함께 공부할 ... ...
- 컴퓨터로 주고 받은 진솔한 이야기과학동아 l1988년 09호
- 컴퓨터와 전화선이 있는 곳이면 전국 어디라도 관계가 없는 것이다. 가장 먼 곳으로는 제주도가 있는데 그곳의 graph0란 ID를 가진 분은 매우 극성스럽게 서신을 써대는 소위 '광(hacker)'에 속한다. 아니, 현재로서는 우리와 가장 많이 떨어져 있는 사람은 위에서 말한 EMPAL이란 단어를 만들어 낸 sambl이란 ... ...
- 서귀포의 이동식 기상레이다과학동아 l1988년 08호
- 위해 관악산레이다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한편. 90년대초까지는 부산과 강릉, 그리고 제주도 고산에 새로운 기상레이다를 신설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한반도 전역이 완벽하게 기상레이다의 관측망에 커버될 전망이다.오는 9월1일부터 관측개시를 목표로 설치중인 관악산 기상레이다는 DWSR-8 ...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과학동아 l1988년 08호
- 계속될 예정, 또 전시시설 이외에도 '신비의 섬 탐라'라는 영화가 매일 4회 상영되고 있어 제주도의 자연과 생태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있다.한편 박물관에서는 전시업무뿐아니라 연구활동도 수행하고 있다. 고고민속과 동물, 식물·광물, 해양생물 등 4개 분야에 총 9명의 연구원이 일하고 ... ...
-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과학동아 l1988년 08호
- 따라 정보가 체계적으로 묶이어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 순신'하면 '거북선'이, '제주도'하면 '한라산'이 금방 머리 속에 떠오는 것은 바로 이와같은 인간 두뇌의 기억 저장방식을 엿볼 수 있도록 해 주는 현상이다. 일부 인지심리학자들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를 토대로 (그림4 ... ...
- 상처입고 돌아온 저어새과학동아 l1988년 07호
- 지난 1980년 12월30일 낙동강 하구 김해군 서암마을 호숫가에서 2마리가 발견되었고 1982년 제주도에 4마리가 나타났다. 그후 6년의 오랜 기간동안 종적을 찾을 수 없었으므로 멸종된 것이 아닌가 조바심하던차였다. 그런데 이번에 서해안에서 발견과 동시에 수십년만에 최초로 채집하게 되었으니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