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평양 바다속에서 광물을 캔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해저산은 오래전에 해저에서 화산이 분출한 결과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날의
제주도
혹은 울릉도 그리고 미국의 하와이와 같은 섬들이 해저면에 있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해저산 사면은 주로 화산암의 암반이 노출되어 해수와 접하고 있고 평평한 지역인 정상부는 두꺼운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그 수가 3만여마리를 헤아릴 정도가 되었다. '사람은 낳으면 한성(서울)으로 보내고 말은
제주도
로 보내야 한다'는 속담은 이런 배경을 통해 나왔을 것이다.지난 1965년까지만 해도 제주의 말은 2만여 마리의 대군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불과 20여년이 지난 85년에는 수백마리로 줄어들었다. 그래서 198 ... ...
PARTⅠ풍력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방향으로 추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육지와 떨어져 있어 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는
제주도
에서는 발전단가가 비싼 화력 대신 천혜의 자원인 바람을 이용한 중·대형 풍력발전기와 풍력발전단지 건설을 고려해 봄직하다 ... ...
PARTⅢ 지열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용에 눈을 돌릴 때이다. 우리나라의 지열자원은 빈약한 편이나, 위에서 언급한대로
제주도
의 화산암체와 고온건조암체의 지열 잠재성은 상당히 긍정적이며, 이를 대상으로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지열발전까지도 가능하리라 본다. 또한 지열의 이용은 개인의 이익보다는 국가적인 사업으로서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붉은색의 꽃이 뭉쳐서 핀다.한반도의 남쪽,
제주도
에 위치하는 한라산에는 남한에 분포하는 1백30종류의 고산식물중 81종류가 자라고 있다. 이중 제주산버들 눈범꼬리 한라장구채 한라돌쩌귀 바위미나리아재비 섬바위장대 제주가시나무 좀양지꽃 암매 산매자나무 ... ...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제주도
바닷가 지층에서 본 조개비도 화석임에 틀림없다. 사실 전문가의 연구에 따르면
제주도
의 지층은 약 3백만년 전 이후에 이루어진 것이라고 한다.지구는 약 45억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구에 대기권(大氣圈)과 수권(水圈)이 생겨 비와 바람이 지면에 풍화와 침식을 일으키고 바다 ... ...
동화 속의 투시경을 찾아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주위에서도 연구대상은 쉽게 찾을 수 있다. 공룡의 화석도 관찰하고 북한산의 돌과
제주도
의 돌이 다름도 살핀다. 또 도자기를 만드는 흙과 운동장의 흙이 다르다는 사실도 밝혀낸다. 보통 사람의 눈에 그냥 지나쳐 가는 것들이 지질학자의 눈에는 모두가 연구대상이 된다.지질학의 특성상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지하순환수를 만나서 뜨거워져 약한 지구 껍데기로 올라오는 것이다.백두산에 비하여
제주도
한라산에 온천이 없는 이유는 백록담 밑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원인 마그마가 없기 때문이다.최근 북한 보도에 의하면 천지 남서쪽에서 73℃의 백두산 온천을 발견했다고 하니, 천지주위에는 역시 ... ...
체질에 맞는 음식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망아지를 집앞에 매어두고 사라졌다. 이 꿈을 꾸고 난 후 이제마를 손자로 얻게 되자
제주도
에서 가져온 말이라하여 '제마'라고 이름지었다는 일화가 있다.그는 어려서부터 무예에 출중하여 일찌기 무과에 급제, 나중에는 고원군수라는 벼슬을 하였다. 그러나 그에게는 해역증이라는 양다리가 ... ...
해류, 기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쿠로시오해류의 주축은 일본 동쪽 연안을 따라 흐르나 이의 지류가 우리나라의
제주도
북방까지 이르며 이후 대한해협을 통과하여 동해로 유입된 후 일본 서측연안을 따라 북상하여 쓰가루, 소야 해협 등을 거쳐 다시 태평양으로 나간다. 우리나라의 동해 남부 해역도 이의 영향을 받는다.지구의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