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캐나다에서 건조한 30인승이며, 현재 전세계에 10척 정도가 운항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제주도
앞바다에 48인승 1척이 운항되고 있다.군사용 잠수정(잠수함)에 대한 총괄적인 자료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비밀에 붙여져 상세히 알 수는 없지만 군사전문잡지에서 설명하는 단편적인 기사를 토대로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Mb/s 방식을 중심으로 건설해 왔으나 금년부터 5백65Mb/s 방식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육지와
제주도
간에는 2백80Mb/s 방식의 해저광통신케이블이 1990년에 개통되었고, 멀지않아 울릉도에도 해저광통신이 설치될 예정이다.국제적으로도 해저광통신케이블 건설붐이 일고 있다. 규모가 큰 것으로는 태평양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지형과 지질을 더 결합시켜서 탐구했으면 좋지 않겠나 싶구요. 같은 화산섬인 울릉도와
제주도
를 비교해 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 같습니다.민선화 탐사 시작하던 첫날에는 미리 논문도 구해 읽고 이런 저런 준비도 해온 다른 선생님들을 보면서 주눅부터 들었습니다. 현장탐사를 나온 게 솔직이 1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울릉도가
제주도
와는 다른 지질구조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 즉
제주도
의 경우 빗물(눈)등은 기공이 많은 현무암질을 그대로 빠져나가 산봉우리 가까이에서는 물이 귀하고 해안에 이르러서는 한꺼번에 물이 쏟아져나와 정방, 천제연 등의 폭포를 이루는 반면 울릉도에서는 빗물이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불린다. 지금부터 약 73만년 이전에는 지구자장이 오랫동안 역자기상태로 있었다. 따라서
제주도
와 울릉도 화산이 약 1백만년 전에 터졌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방황하고, 산보하고지구자장이 한번 뒤바뀌는데 보통 3천~4천년이 걸리지만 역전된 후에는 그 상태를 오래 유지하기 때문에 지구가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벌채만으로도 매년 4천~6천종의 생물이 사라지고 있다.필자는 1973년
제주도
서귀포에 있는 천지연폭포 상류에서 그때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새우류 한종을 채집 했다. 자세히 살펴 보니 틀림없는 신아종(新亞種)이었다. 그래서 1976년에 학명과 제주새뱅이라는 우리말 이름을 붙여 학술지에 발표한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다.'미역을 따오리까, 소라를 딸까'의 비바리 하소연에도 나오는 소라(Batillus cornutus)는
제주도
를 포함한 남해안에서 주로 나온다. 소라는 자웅이체이며 일반적으로 뿔이라고 부르는 수관(水管)이 긴 것이 특징이다.해변의 모래사장에 밀려 온 물바랜 많은 조개껍질을 주워 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위한 CFC 사용규제)협약 등으로 어려움을 당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따라서 우리도 이제
제주도
등 인간영향 범위에서 다소 떨어진 대기성분 기체를 정규적으로 관측할 필요가 있다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조사를 착수해 1백여개의 열점을 보고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의 추가령지구대와
제주도
도 포함돼 있다.판의 경계가 위태로워태평양 서쪽의 가장자리에도 화끈한 지역이 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가면서 알류샨열도 쿠릴열도 일본열도 필리핀열도 등 화산섬들이 호상열도(island arc)를 이루고 있으며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
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인천지역에서 1년동안 사용한 전력보다도 많은 양이다. 송배전 손실률을 1%만 낮추어도
제주도
에서 2년동안 소비되는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송배전 손실을 극소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송전 전압을 현지 사용되고 있는 3백45㎸(킬로볼트) 보다 훨씬 높은 8백㎸로 높이는 초고압 송전기술과 현재의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