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포함시키고 있다. 이렇게 계산된 오키펀오키 집수역(集水域)은 약 3천9백25㎢로
제주도
면적의 2배나 된다. 습지에는 15개 하천이 유입하고, 스와니강 세인트 메어리강과 사이프리스천이 흘러 나가고 있다.유입하천이 흐르는 업랜드도 지형에 따라 다양한 생태단위로 구성돼 있다. 하천을 따라 길게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집중하면 멀미가 악화된다고 한다.따라서 올 여름방학이나 휴가를 이용, 배를 타고
제주도
홍도 울롱도 등을 여행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은 멀미대책을 세워둬야 한다. 배멀미에 약한 사람은 갑판 아래보다는 위에서 전방을 바라다 보는 것이 좋다. 부득이 수평선을 볼 수 없을 경우에는 머리를 뒤로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중생대에 성했으나 역사에서는 고려시대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覧)'에 '1002년과 1007년
제주도
에 검은 연기가 치솟ㅇ아 항해를 할 수 없었다'는 기록이 발견되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는 1597년 1668년 등에 백두산일대지역이 화산 재로 되덮였다고 쓰고 있다.환태평양지역 '불의 고리'의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폭포는 어떻게 형성됐을까? 경사진 계곡뿐만 아니라 평지의 하천, 바다와 접한 해안지역에도 폭포가 만들어진다.우리의 마음을 항상 상 ... 울릉도 유일의 봉래폭포가 저동의 배후산록에 위치하고 있으나 규모가 작은 편이고
제주도
의 남부 해안에 정방 천지연 천제연폭포가 위치하고 있다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방사한바 있다. 같은 이유를 들어 관계학자들이 반대했지만 몇몇 사람의 공명심 덕택에
제주도
에도 까치가 둥지를 틀었다. 경희대 환경학과팀의 조사에 따르면 세둥지에서 새끼번식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대한 연구보고서를 작성 중인 구태회교수는 "울릉도에는 까치가 둥지를 틀 수 있는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항만건설 시에나 해양환경이 위태로울 경우에도 이 자료를 활용하겠다는 것이다.최근
제주도
서남쪽 85해리 떨어져 있는 전설의 섬 '파랑도'(수심 5.5m)도 해양관측점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종합해양관측망이 구축되면 수집된 자료를 분석 정리해 관련기관에 배포할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말해 용암의 분출과 약한 폭발이 연달아 일어나고 있습니다.윤용웅 학교에 돌아가면
제주도
의 용암동굴과 이나즈미석회동굴의 성안(成因)의 차이도 탐사결과를 토대로 다시 조사해 보고 싶어요.강재보 사실 이나즈미 동굴은 인공을 가미했다는 것이 금세 드러나더라구요. 제 개인 생각으로는 자연 ... ...
플라네타리움 국산 제작 보급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돔지름 9~13m, 설치비용 5,6억원) 플라네타리움을 자체 제작해(국산화율 70%정도) 부산
제주도
전북 학생과학교육원에 보급했다.플라네타리움은 돔안에서 천체의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는 천체시뮬레이터. 최근에는 보조투영기(아스트로비전 등)의 발달로 별자리의 변화뿐아니라 여명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북한지역에는 개마고원을 중심으로 기타 고원지대에 삽니다. 이들의 분포를 근거로
제주도
가 옛날에는 육지에 붙은 부분이었다는 것을 추론해 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개마고원과 한라산은 한참 떨어져 있고 지금은 바다가 가로놓여있지만 과거에는 육지로 연결돼 있었기 때문에 비슷한 높이의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한 원인이었다고 생각한다.우리나라에서 석유나 가스가 발견될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은
제주도
남쪽의 동지나해와 울산-부산 동쪽의 동해지역으로 세계적으로 석유매장이 많은 신생대 제3기층이 두껍게 발달되어 있다. 이들 지역에서 탐사가 시작된 것은 69년이지만 초기에 탐사를 담당했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