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풍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서울 종로 5가에서 풍란과 석곡을 가마니로 사다가 제주산악인들의 도움을 받아
제주도
의 천제연폭포 입구 석벽에는 석곡을, 천지연 숲속 나무와 폭포밑 석벽에는 풍란과 나도풍란을 붙여둔 풍란복원사업이 생각난다.여름철에 낫꼴인 잎사이로 뒷발톱(距)이 매달린 듯이 피는 하얀 6장의 화피로 된 ... ...
떡갈나무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떡갈나무하늘소는 딱정벌레목 하늘소과 황철나무하늘소속에 속한다. 성충은 1년중 6~8월 사이에 참나무류 등의 벌채목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야행성(夜行性)으로 불 ... 구멍을 뚫고 나오는데, 이것을 '탈출구멍'이라고 한다. 몸의 길이는 25~35mm 정도이며 전한반도와
제주도
에 분포한다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혼자서는 물론 프로도 해내기 어려운 일이라고 자부합니다. 앞으로 충청 전라 경상
제주도
의 접류목록을 펴내고, 통일이 되면 북한지방까지 포함해 '8도 접류목록'을 완성할 예정입니다."지난 1월 28일부터 3월 말일까지 이 모임은 또 국립서울과학관에서 '세계의 진귀곤충 전시회'를 개최해 화제를 ... ...
등검은 메뚜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등검은메뚜기는 메뚜기목 메뚜기과 등검은메뚜기(Eyperpocnemidini)에 속하는 곤충이다. 복안(複眼)에 가느다란 세로줄이 비슷한 종류와 구분하는 키포인트다. 앞가슴은 편편하 ... 습기가 있는 잡초의 초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먹이식물은 벼과식물이며 한반도 전지역과
제주도
에 분포한다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3백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비교적 큰 개체들은 자라면서 마디 수가 점차 불어나게 되는데
제주도
해안에서 흔히 잡히는 왕털갯지렁이(Eunice aphroditois, 사진1)는 길이 1.5m, 마디 수가 4백개 이상자라는 대형종이다. 수심 5~10m 정도에서 흐름이 강한 큰 바위 아래를 뱀처럼 기어다니면서 입속의 턱을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최초의 관속식물이 바로 솔잎란이라고 대다수의 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제주도
남쪽바닷가의 바위 틈에서 자라고 있다.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백마강가에 위치한 고란사 뒤에는 고란정이라는 샘이 있다. 이 고란정 뒤 절벽에서 고란초가 한때 자랐었다. 이곳이 백제의 마지막 ... ...
카나리아군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뽐내고 있다.카나리아군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지형인
제주도
와 울릉도 등 두 화산섬의 특징들이 복합된 듯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세계의 화산대라고 하면 신생대 제4기인 2백만년 전부터 생성된 환(環)태평양화산대와 알프스-히말라야화산대가 대표적이다. 대부분의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대개 군락을 이루고 있는데 반해 지리산의 식생들은 군락형성이 미미했습니다.이창복…
제주도
는 오랫동안 안정돼 있는 지역이고 또 습기도 풍부해 식물의 군락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요.최도열…지리산의 9백m 이상 고지에서는 신갈나무군락이 잘 발달돼 있었어요. 또 피아골계곡의 ... ...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대한항공은 1988년 기초비행훈련원을 설립, 민항공 조종사를 자체 양성하겠다는 정신으로
제주도
제동 비행장에 많은 투자를 해 조종사 양성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미국의 시에라 아카데미(Sierra Academy)에 고등비행교육과정을 의뢰, 위탁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이곳 기초비행훈련원 ... ...
국내에서도 태양광발전은 활기띠어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6천㎉에 달하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여름에는 1일일사량이 4천㎉를 넘게 되므로 해안가나
제주도
에 태양열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을 고려해볼만한 시점이다."한국동력자원연구소 김부호연구원(태양에너지연구부)의 말이다.반면 태양광발전소는 입지의 제한을 거의 받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