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행 잎 속에 담긴 「비방」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모두 약효가 뛰어난 것은 아니다. 지역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주도
나 거제도에서 따온 은행잎은 별볼일 없다. 이렇게 해안과 가까운 곳에서 채취한 은행잎은 대개가 약의 원료로 '함량미달'이다. 단 예외가 있다. 강화도산 은행잎이다.반면 내륙에서는 약재 자격이 충분한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8장의 목판이다. 세로 26.4cm, 가로 72.6cm, 두께 2.8~3.7cm 무게 2.4~3.75kg이 그 제원이다. 그리고
제주도
완도 거제도에서 나는 후박(厚朴)나무가 그 재료다. 전체의 무게가 자그마치 26만kg. 4t 트럭으로 환산하면 65대의 분량이다.물론 고려시대의 운송수단은 배와 수레가 전부였다. 이 엄청난 재료를 5백대 ... ...
거북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푸른색을 띤다. 다 자란 놈의 체색은 대개 약간 푸른 빛이 나는 회색이다. 국내에서는
제주도
부근에서만 장수거북을 목격할 수 있는데 이들은 난류를 따라 내한하는 것으로 짐작된다.거북은 중생대의 삼첩기, 즉 1억7천만년 전에 간신(幹蜄) 파충류라고 하는 '코티로사우루스'에서 분화했다. 당시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돌아가면 우선 남부지역과 중부고산지역의 식물을 비교해보고 싶습니다.강영_
제주도
에서 온 저로서는 이 탐사가 한반도 최남단과 남한 최북단의 비교라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한라산과 대암산을 비교할 기회가 된 것이지요. 한라산이 식물의 종류에 있어서는 훨씬 다양하지만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제119호이며 적색자료목록 부호 26호에 올라있다. 우리나라에는 겨울에 한두마리가
제주도
낙동강 주남저수지 등에 일시 도래하며 번식처는 없다.■따오기/전세계에 20마리 미만우수리분지, 중국본토와 만주동부, 일본 사도섬에서 서식했다. 일본에서는 한때 모두 포획해 인공증식했으나 실패했고 ... ...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것 등은 언어적인 기억이며 사람들의 얼굴을 기억하고, 몇년전에 다녀온 설악산이나
제주도
의 이곳 저곳을 기억하는 것 등은 시각적인 기억이다.많은 사람들은 언어적인 기억만을 우리가 할 수 있는 기억으로 보고 시각적인 기억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영어 단어나 문장을 잘 ... ...
킬라우에아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하와이섬의 두 도시중 하나인데 비(雨)의 도시, 난(蘭)의 도시로 유명하다. 면적이
제주도
의 5배가 넘는 하와이섬이지만 인구는 10만여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섬의 대부분이 사람이 살기 어려운 화산지역이기 때문에 해안가에 거주지역이 몰려 있었다. 물씬한 유황냄새를 맡으면서좀 더 구석구석을 ... ...
첨단 OA기기 어떤 것들이 있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아니며, 개발이 끝난 기종도 흑백 정지화상을 전달할 수 있을 뿐이다. 광고에서처럼
제주도
에 있는 할머니와 서울에 있는 손자가 웃으며 얘기를 주고 받는 모습은 아직은 현실화 되지 않은 정경이다.금성통신이 작년에 개발한 음성인식전화기는 컴퓨터를 이용한 음성인식의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 ...
제주도
의 동굴과 지형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두었습니다. 선생님들이 현지에서 학습한 내용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국내에는
제주도
뿐만 아니라 많은 지방에 동굴과 특이한 지형이 산재해 있습니다. 고교 교사들은 자기 고장의 지구과학적인 사실을 밝혀내는데 누구보다 유리한 위이에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스스로 자기 고장을 ... ...
제주도
의 동굴과 지형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지구과학을 맡고있는 교사 12명을 비롯, 어느때보다도 많은 인원인 19명이 참가했고
제주도
현지에서 손인석교사 신유영 장학사 배두안 동굴학회이사 등이 합류해 탐사하는데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일정이 너무 빡빡하게 짜여져 몇군데 집중적으로 조사할 시간이 없었다는 점과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