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론
학설
원리
견해
의견
혀
혓바닥
어린이과학동아
"
설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후끈후끈~, 동물들의 겨울나기 비법(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12
따뜻한 열을 내는 보온등을
설
치해 추위를 달랠 수 있도록 했거든. 그리고 언제든지 따뜻한 실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작은 문을
설
치해 놓았단다. 앞으로는 아예 큰 돔을 만들어 원래 살던 자연을 그대로 꾸며 줄 계획이야. 그 때가 되면 정말 겨울이 없는 동물원이 될 거야. [소제시작]반달가슴곰의 미스터리한 겨울 나기[소제끝] 휴~, 잔 ...
강치와 독도의 해양 생물 수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13
오래된 화산섬인 독도는 항아리인 독을 엎어 놓은 것 같이 생겨서 독섬으로 불렸다는
설
과, 돌의 방언이 독이라서 독섬으로 불렸다는
설
이 있지. 하지만 내 친구들을 보니 독도가 황량한 돌섬이 아니라 다양한 해양 생물의 보금자리란 걸 알았을 거야. 아윽~ 아윽~(마지막으로 하나 더)! 요즘 다른 나라에서 독도가 한국 땅이 아니라고 하고 ...
숭례문 화재 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29
아닌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누전 등의 염려가 없어 문화재에도 안심하고
설
치할 수 있다. 화재경보기가 불꽃을 탐지하면 내부에
설
치된 스프링클러나 물안개 분사시스템이 작동하게 된다. 물안개 분사시스템은 단순히 물을 뿌리는 스프링클러와 달리 안개 같은 물 입자를 내뿜는다. 스프링클러에 비해 물을 적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불과 접촉하는 물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31
냉장실에 넣는 것은 떡을 가장 빨리 맛없게 만드는 거예요. 맛있는 떡에 쫄깃쫄깃한 과학을 더하니 떡 맛이 두 배가 되었어요. 이번
설
에 친척들과 모여 맛있는 떡을 먹을 때 새로 알게 된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을 이야기 해 주세요. 모두모두 두 배 더 맛있는 떡을 먹게 되겠죠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했지. 어떤가? 나도 앞서 나온 사람들 못지 않게 중요한 과학자 아니겠나? 모든 물질은 원자에서부터! {BIMG_r11} 보일이 말한 원자
설
은 아주 초보적인 수준이었네. 즉, 보일이 아마추어 과학자였다면 나는 전문 과학자라고 할 수 있지. 나는 세상이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원자론을 한 걸음 더 발전시켰거든. 그 결과 같 ...
한국인 뇌지도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11
유산균 음료 광고로 더 유명해진 과학자다. 극피동물에서 몸 안에 들어온 이물질을 먹는 식세포를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면역
설
을 주장했다. 장에서 사는 세균의 독소와 노화를 연구하기도 했다. 면역에 대한 연구로 1908년 노벨상을 받았다. 1875년 5월 20일 미터법 파리서 조인 나라마다 단위가 달라 불편했던 시절, 세계의 과학자들이 파리에 모여 ...
설
의 과학(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11
해를 시작하는 첫날 새벽, 맑은 공기를 마시고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면서 한 해를 계획하자는 의미가 아니었을까요? ▶떡국 먹기
설
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에는 흰색의 음식으로 깨끗하고 정갈하게 새해를 맞는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떡의 모양에도 특별한 의미가 있는데, 시루에 찐 떡을 길게 늘려 뽑는 이유는‘재산이 쭉쭉늘어나라’는 의미입니다. 또 ...
설
의 과학(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11
만나고 친척어른들에게 세뱃돈도 받는 즐거운 명절이지요. 하지만
설
날에는 그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이번
설
에는 잊혀져 가는
설
의 풍습과 놀이 속에 담겨 있는 조상들의 삶의 지혜와 과학의 원리들을 한번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 ...
홈즈의 새로운 단짝 '다무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29
006년은 병술년, 개의 해. 썰렁 홈즈를 사랑하는 모임인‘
설
사모’의 회장‘치양이 독트케’가 특별한 선물을 보내왔다. 선물은 다름 아닌 썰렁 홈즈를 쏙 빼닮은 강아지 한 마리. 그리고 작은 쪽지도 함께 들어 있었다. “이 강아지는 썰렁 홈즈의 단짝이 되어 줄 거예요. 정말 귀엽고 사랑스러운 녀석이랍니다. 다만조금 많이 먹고 성질이 포악하긴 하지 ...
겨울스포츠의 과학(1)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14
걸어다니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겪어 본 친구는 알고 있을 거예요. 하지만 스키를 타면 눈이 얼마나 쌓여 있냐에 상관없이 눈 위에
설
수 있답니다. 또 마음대로 이동할 수도 있지요. 얼음 위에서도 마찬가지지요. 신발만 신었을 땐 가만히 서 있기도 힘들만큼 미끄러운데 스케이트를 신으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요. 어떻게 이럴 수 있는 걸까요? ...
이전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