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탄생시킨 A&M대의 두에인 크래머 박사는 “고양이의 성격을 결정하는데 유전자만큼
환경
도 중요하다”며 “똑같은 DNA를 가졌다고 해서 반드시 똑같은 외형을 가진 고양이를 낳을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고 말했다.또한 경상대 축산학부의 김진회 교수팀은 복제돼지의 경우 성체가 되면서 원본과는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있다. 골격이 부드러운 진흙 속에 둘러싸이고 퇴적암이 오랫 동안 남을 수 있었던 중국의
환경
이 엄청난 양과 높은 수습율의 공룡 화석을 가능케 했던 것이다.반면 우리나라에서 공룡 뼈 화석이 보존돼 발견되는 일은 중국에 비해 드물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대륙판과 태평양판의 두 지각판이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나선 LCD - 빛의 진행방향 마음대로 조절하는 액정 지금으로부터 몇년 전의 사무
환경
을 현재와 비교해볼 때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PC의 슬림화를 꼽을 수 있다. 특히 좁은 책상 위에서 불편한 듯 뚱뚱한 몸집을 유지하고 있는 CRT 모니터가 점차 LCD 모니터로 바뀌면서 넓고 쾌적한 분위기를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사무실의 근로자가 실제 접하는 온도, 습도, 소리, 광도, 실내공기, 공해 등 다양한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었다.이 외에도 특수하게 제작된 더미는 인간 대신 수술대에 눕기도 한다. 자동으로 정밀하게 움직이는 의료장비를 개발하고 시험하기 위해서다. 한 예로 KAIST 윤용산 교수팀은 더미를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
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똥박사. 고상한 박사 명칭에 점잖지 않은 단어가 붙어있어 아무래도 장난스럽게만 느껴진다. 하지만 이 별명을 오히려 자랑스럽게 여기 ... 구성해야 쓰레기 없는 세상이 열려요. 자기 분야에서 기초를 탄탄히 닦으면
환경
오염을 없애는데 기여하는 훌륭한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병을 일으키는 진균은 약 40종으로 칸디다 방선균 아스페르길루스 등이 있다 대개는 주위
환경
으로부터 인체에 침입해 병을 일으키지만 칸디다나 방선균은 건강한 사람의 입 속이나 점막 등에 상재하다가 어떤 유인이 생기면 병을 일으킨다많은 전자회로 소자가 하나의 기판 위 또는 기판 자체에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건강히 살아있으면 최소한 그 정도 넓이 생태계가 건강하다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환경
바로미터인 셈이다.우리나라 월드컵대표팀의 상징이기도 한 호랑이는 현재 전세계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신생대 올리고세(3천만년 전)에 처음 등장한 호랑이는 오늘날 한국호랑이, 백두산호랑이라고도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정도로 머리 나쁜 오크들은 파이크의 사용법을 몰랐던 것은 아닐까.개발론자 난쟁이와
환경
운동가 요정오크를 불태우고 돌아오는 로한의 기사들이 요정인 레골라스와 난쟁이 김리가 함께 있는 것을 보고 이상하게 생각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중간계의 난쟁이족은 지하의 광물을 채집해 다양한 금속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수는 없다. 하지만 생물학은 유전학이 아니다. 생물학에는 유전학 외에도 유전자와
환경
의 관계를 다루는 생태학이 포함돼 있다.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동일할지 모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절대로 동일할 수 없다. 복제인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유전자 복제보다 우리가 더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은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시작된 단백질 연구는 1985년 귀국하면서 계속 이어졌고 당시 척박하던 국내의 연구
환경
을 개선하기 위해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덕분에 얻은 별명이 ‘여장부’. 유 단장은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유향숙 단장과 함께 국내의 대표적 여성 생명과학자로 꼽힌다. 하지만 그는 별명과는 달리 연구 ... ...
이전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