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
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똥박사. 고상한 박사 명칭에 점잖지 않은 단어가 붙어있어 아무래도 장난스럽게만 느껴진다. 하지만 이 별명을 오히려 자랑스럽게 여기 ... 구성해야 쓰레기 없는 세상이 열려요. 자기 분야에서 기초를 탄탄히 닦으면
환경
오염을 없애는데 기여하는 훌륭한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KAIST] 운전자까지 포함한 원전 디지털화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단순히 가져다 사용한다는 편견이 있다”고 성 교수는 얘기한다. 하지만 원전은 극한의
환경
에서 운전되며 많은 양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고 매우 안전하게 유지돼야 하기 때문에 원자력공학자들은 적당한 수준으로 시스템을 만들어서는 안된다. 일반적인 응용에 쓰이는 타분야의 기술을 ... ...
지질학자와 떠나는 온천 탐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맞는 온천이 가장 좋은 온천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변 경치가 좋고
환경
이 편안함을 주며 부대시설이 잘 꾸며져 있는 곳이면 더욱 좋을 것이다. 온천욕을 하러 가는 것은 우리의 몸을 편안히 재충전시키기 위한 휴양 목적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온천업을 하는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있다. 골격이 부드러운 진흙 속에 둘러싸이고 퇴적암이 오랫 동안 남을 수 있었던 중국의
환경
이 엄청난 양과 높은 수습율의 공룡 화석을 가능케 했던 것이다.반면 우리나라에서 공룡 뼈 화석이 보존돼 발견되는 일은 중국에 비해 드물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대륙판과 태평양판의 두 지각판이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나선 LCD - 빛의 진행방향 마음대로 조절하는 액정 지금으로부터 몇년 전의 사무
환경
을 현재와 비교해볼 때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PC의 슬림화를 꼽을 수 있다. 특히 좁은 책상 위에서 불편한 듯 뚱뚱한 몸집을 유지하고 있는 CRT 모니터가 점차 LCD 모니터로 바뀌면서 넓고 쾌적한 분위기를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흰개미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그러나 진짜 문제는 따로 있다. 무분별하게 건축물 주변
환경
을 바꿔 흰개미의 공격을 유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바로 사찰의 무분별한 건물 개보수다. 사찰들은 건물을 개보수하면서 온돌을 모두 보일러로 바꾸고 있다. 보일러가 있는 목조 건축물은 흰개미의 표적이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병을 일으키는 진균은 약 40종으로 칸디다 방선균 아스페르길루스 등이 있다 대개는 주위
환경
으로부터 인체에 침입해 병을 일으키지만 칸디다나 방선균은 건강한 사람의 입 속이나 점막 등에 상재하다가 어떤 유인이 생기면 병을 일으킨다많은 전자회로 소자가 하나의 기판 위 또는 기판 자체에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건강히 살아있으면 최소한 그 정도 넓이 생태계가 건강하다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환경
바로미터인 셈이다.우리나라 월드컵대표팀의 상징이기도 한 호랑이는 현재 전세계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신생대 올리고세(3천만년 전)에 처음 등장한 호랑이는 오늘날 한국호랑이, 백두산호랑이라고도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곱셈 덧셈이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회로선폭은 05μ 고온, 방사능 등 전시의 거친
환경
에서도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소립자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파동함수는 공간의 좌표를 반전시키거나 그 부호를 바꾸어야 원래와 같게 되는데 이 성질을 말한다태양표면에 밝은 반점이 나타나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시작된 단백질 연구는 1985년 귀국하면서 계속 이어졌고 당시 척박하던 국내의 연구
환경
을 개선하기 위해 이리저리 뛰어다녔다. 덕분에 얻은 별명이 ‘여장부’. 유 단장은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유향숙 단장과 함께 국내의 대표적 여성 생명과학자로 꼽힌다. 하지만 그는 별명과는 달리 연구 ... ...
이전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