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궁리 끝에 돌아가면 딸에게 다음과 같이 전해달라고 부탁했다. "한국에 가보니 지난 번
서울
올림픽때 외국사람들이 한국의 영양탕을 모두 먹어치워서 나는 구경도 못했다"라고···.사실 옛소련 사람들은 영양탕을 좋아하지 않지만 개를 사랑하는 사람들 같지는 않다. 왜냐하면 옛소련에서 개들은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단순히 암석이 부서진 것이 흙이 아니다. 기후나 식생, 지형 등에 따라 복잡한 유기적 과정을 거쳐 흙은 탄생한다.흙에 관한 생각과 정서는 사람마다 큰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과거 20~30년전까지만 해도 농사를 주업으로 했던 우리 민족에게 있어 흙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매우 각별한 것이다. TV를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바라본다면 푸른 빛을 띤 아름다운 지구는 우리를 매혹시킬 것이다. 우리가 지구 나이 만큼 지구를 지켜볼 수 있다면 지구가 불을 뿜고 거대한 구름으로 뒤덮이며 대양이 넘실거리는 광경까지 볼 수 있을 것이다.최근 우리 사회의 독서계와 일부 과학자들 사이에서 가이아이 ... ...
동물계통분류학 대이은 김훈수·김원 부자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대해 호기심을 느낀 것이 결국 부자 2대에 걸쳐 같은 학문을 하게 됐다.
서울
태생인 그는
서울
대 동물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에 유학, '동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는 딱총새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학문은 한 세대에 끝나는게 아니라고 봅니다. 아버님이 먼저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오랫동안 우주여행을 하거나 미래의 우주식민지에서 생활할 경우,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1902년 미국의 라이트형제가 첫 비행에 성공한 이래 1백년도 채 안된 지금 제트여객기와 초음속기가 지구상의 도시를 종횡으로 연결, 지구전체를 1일생활권으로 만들고 있다. 과학자들은 ... ...
카메라 렌즈 통해 조물주의 오묘한 섭리 느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보면 자연에 대해 외경심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꽃사진회 회원들은 지난 해 4월
서울
롯데백화점에서 그동안 촬영한 전국의 알려지지 않은 꽃들의 사진을 모아 전시회를 가졌다. 이때 많은 사람들로부터 호평을 얻은 꽃사진회는 내년에는 멀티비전으로 꽃을 보여주는 전시회를 개최할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별중 하나는 0등성, 2개는 2등성, 2개는 3등성이므로 투명도가 썩 좋지 않은 보통의
서울
밤하늘에서는 밝은 세개의 별만 보여서 마치 기울어진 삼각형을 보고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그러나 시골의 밤하늘에서 이 별자리를 바라보게 되면 확실히 5각형을 이루는 별뿐만 아니라 카펠라 옆에 있는 에타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좋지 않았다. 환자들이 이식 거부반응을 일으켜 사망하게 된 것이다.최근
서울
대병원과
서울
중앙병원 등 대학병원에서는 장기이식센터를 설립, 장기수여자와 공여자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부분적인 뇌사인정 추세에 영향을 받아 본격적인 장기이식시대를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심각한 상태에 이른 수질오염과 대기오염을 생물공학기술로 씻어낼 수 있다. 이 방법은 마치 보약처럼 생태계에는 거의 부담을 주지 않는다.우리 인류는 지구상에서 과학기술문명을 발전시켜 풍요하고 편리한 삶을 살고 있다. 이러한 산업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과거에는 심각하게 느끼지 못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8도 접류목록'을 완성할 예정입니다."지난 1월 28일부터 3월 말일까지 이 모임은 또 국립
서울
과학관에서 '세계의 진귀곤충 전시회'를 개최해 화제를 모았다. 이때 출품된 나비는 회원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미국 남미 등 세계 각국에서 채집·수집한 것들로 모두 7천여 마리를 선보였다. 이 ... ...
이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