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분위기를 연출하는 별자리다. 이 별자리는 죽음의 강답게 밝은 별이 거의 없는,
서울
하늘에서는 거의 알아보기 힘든 공허한 별자리다.에리다누스자리는 오리온자리의 베타 별리겔에서 서쪽으로 25°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4등성 엡실론(ε)별로 인해 매우 관심이 가지는 별자리. 이 별은 고래자리의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요즘 바이오테크놀로지 관련학자들은 코끼리만한 소를 만들기보다 눈에 잘 띄지 않지만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금세기 최후의 산업혁명이라는 기치 아래 바이오테크놀로지(biotechnology)는 1980년대 이후 꾸준히 일반에 소개돼 왔다. 유전공학의 발달에 힘입어, 앞으로는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중론이다.현재 교통부에서는 97년까지 시속 1백~2백km 정도의 자기부상열차가 실용화되면
서울
영종도간을 고려해볼 수 있다는 소극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신기술에 대한 욕구가 적은 교통부가 소극적인 상황에서는 실용화될 때까지 개발비를 과기처에서 부담할 수 밖에 없는데, 현재 과기처의 ... ...
하이브리드카를 탄생시킨 현대 고등학교 자동차·항공기연구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서 있다는 우리나라에서 이제 막 개발을 마친 첨단과학의 결정체이기 때문이다.지난 10월
서울
현대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제작한 솔라카(FETS, 땅에서 하늘까지라는 뜻)의 시험운전이 있었다. 제작의 주역은 학내 서클인 자동차항공기 연구반(지도교사 구기복). FETS는 디자인은 조금 엉성하지만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도시고속도로가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속도로관제에 별로 관심이 없었으나,
서울
시의 경우 올림픽대로나 청계고가도로와 같은 도시고속도로가 이미 포화상태에 도달해 있고 현재 건설중인 내부순환 고속도로와 외곽순환 고속도로가 완공되는 금세기 말에는 간선도로의 신호제어와 함께 ... ...
성인병 예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성인병을 막기 위해 운동을 하지만 아무 운동이나 건강에 도움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건강상태나 체력조건에 알맞는 운동을 선택해야 성인병의 위협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최선의 기능을 유 ... ...
청소년상담 통신망 등대BBS 운영하는 현직교사 서영창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비해 영세하지만 소규모로 운영되기 때문에 오히려 가족적인 친근함이 있다.서교사도 집(
서울
도봉구 방학동)에 PC 두 대와 모뎀, 그리고 전화 두 대를 놓고 등대BBS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996-2304 한 대만 가동되는데 접속시간은 밤 9시부터 새벽 6시까지. 누구든지 '이야기' 같은 백신프로그램으로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억8천만년 동안 지속된 중생대에는 바다에서 암몬조개류가, 그리고 육지에서 파충류가 번식했는데, 공룡은 바로 파충류에 속한다.지금으로부터 약 50억년 전에 지구가 태어났다. 처음 약 4~5억년 동안은 성(星) 시대였고 지질시대가 시작된 것은 46억년 전부터다. 46억년에서 5억7천만년 전까지를 선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 성운 속에는 중성자별이 자리잡고 있다.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갖는 중성자별은 대략
서울
시만한 크기를 갖게 된다. 중성자별은 이처럼 엄청난 수축 끝에 탄생하기 때문에 매우 빠르게 자전하고 있다. 이는 피겨 스케이터가 팔다리를 안으로 웅크릴수록 더 빨리 돈다는 점에 유의하면 이해할 수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올해도 우리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수상자들의 연구업적을 잘 살펴 다음을 기약하자. 올해의 노벨의학·생리학상은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학 생화학과의 에드윈 크랩스(Edwin Krebs) 교수와 에드몬드 피셔(Edmond Fischer)교수에게 돌아갔다. 이 두 생화학자는 33년 전인 1959년에 에피 ... ...
이전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