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가지
과학동아
l
2018.04.30
그친다. 올해 3월 김 선임연구원은 제프리 그로스만 미국 매사추 세츠공대(MIT) 재료과학
공학
과 교수와 공동으로 황화납 양자점의 표면에서 납 또는 염소 원소의 결함이 나타나기 쉬워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김 선임연구원은 “양자점 표면에서 원소의 결함이 일어나지 않도록 ... ...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
과학동아
l
2018.04.29
고구마가 북한 식량부족의 구원 투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곽상수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책임연구원(위 사진)은 “북한의 식량 및 영양수준은 남한의 1960년대와 비슷하다”며 “황폐한 토양, 부족한 비료와 화학농약 영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고구마가 북한 식량부족의 대안으로 ...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
2018.04.28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막는 환경친화적인 방제 기술 개발이 급선무다. 박호용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990년대부터 남북은 곤충병원미생물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미생물 살충제 개발 등의 연구에 직간접적으로 협력해왔다”며 “남한의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협력 한다면 한반도를 ... ...
관객은 공연자를 춤추게 한다...'청중'이 뇌에 미치는 영향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4.27
이 때 성과도 더 좋아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비크람 치브 미국 존스홉킨스대 생물의
공학
과 교수팀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관찰할 때 사회적 인지와 관련이 있는 뇌 부위가 활성화되며, 보상감을 느낀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운동신경을 조절하는 부위가 활성화돼 숙련된 작업의 성과도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때문에 생존할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나오미치 오기하라 게이오대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은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뇌 구조를 비교한 결과, 호모 사피엔스의 소뇌가 8배 가량 더 크다는 사실을 발견해 ‘사이언티픽 리포트’ 26일자에 발표했다. 소뇌는 언어 ... ...
전파 혼선 피하는 신기술로 국방 레이더 성능 ↑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전파 혼선을 피하는 이론적 방법은 그간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해 왔다. 미국의 전기
공학
자 해리 나이퀴스트(Harry Nyquist)가 1928년에 이런 혼선을 방지하는 ‘에일리싱’ (aliasing)이라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지만 필요한 데이터도 함께 손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완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 ...
바다 유출된 기름 분해하는 분산제, 햇빛 닿으면 효과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18.04.25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2월, 임근배 포스텍 기계
공학
과 교수와 조성진 충남대 기계
공학
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셀룰로오스로 만든 멤브레인(막)을 이용해 물과 기름을 빠르게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1분에 최대 2000L의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어 바다에 유출된 기름을 ... ...
차세대 반도체의 비밀 ‘공중부양’ 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4
안정적으로 원하는 구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 총책임자인 정연식 KA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는 “2차원 반도체는 물론 금속성 2차원 소재인 그래핀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차세대 유연디스플레이용 트랜지스터나 광 검출기의 핵심 소재 제작에 활용할 수 있을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수명 단축시키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4
태양전지의 상용화 가능성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이창희 교수팀과 이현호 박사과정 연구원 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전환 효율이 떨어지는 이유가 전지의 광활성층을 구성하는 요오드 이온들이 전극 아래 계면에 쌓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 ...
SF 속 투명 디스플레이 현실화 앞당긴다...컴퓨터 통한 투명 반도체 소자 탐색 기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정확도로 후보 물질을 찾을 수 있음을 밝혀냈다. 연구 책임자인 한승우 서울대 재료
공학
부 교수는 “신물질 선별을 실험으로 규명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들지만, 계산과학을 활용해 짧은 시일 내에 이를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이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