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12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값비싼 연료전지 백금 촉매 가격 찾추고 수명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7
산소환원반응 활성과 내구성이 상용화 기준에 못 미친다는 한계가 있다. KAIST 신소재
공학
과 조은애 교수 연구팀은 백금 기반 촉매의 활성 및 내구성 증진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니켈 합금 촉매를 합성한 뒤 성능 증진을 위해 여러 금속 원소를 적용한 결과, 갈륨이 가장 효과적임을 ... ...
두 약물 같이 쓸 때 효과-부작용 예측… ‘AI 약사’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7
효과는 높은 맞춤형 약물을 처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특훈교수팀은 약물 간의 상호작용을 92.4%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AI인 ‘딥디디아이(DeepDDI)’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딥DDI는 약물 A를 ... ...
KAIST, 암 치료 효과 높인 레이저 치료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보인 것과 비교하면 100배 이상 감도가 우수한 셈이다. 연구를 주도한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노일구 박사과정 연구원은 “암세포 미토콘드리아에 오래 머물러 있어 레이저를 조사했을 때 원하는 부분에만 부작용 없이 효과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치료 후 독성이 없이 분해돼 ... ...
적혈구를 ‘필터’로...고성능 혈당측정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5
기존 혈당측정기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혈당측정기 원리를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사진은 일반적인 혈액 측정기 모습이다. -사진 제공 픽사 ...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책임자인 윤 교수는 "바이오센서뿐만 아니라 약물전달시스템 등 조직
공학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출동! 기자단] 가제트 로봇 팔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3
주셨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이번 취재에서 다양한 모양의 로봇들을 보며 로봇
공학
자의 꿈을 키울 수 있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떤 로봇을 만들고 싶은가요? 주변의 물건들을 관찰하며 신기하고 특이한 로봇을 상상해 보세요! 소프트로봇 기술연구센터장 조규진 교수님과 ... ...
과학계, 성차별에 주목...여성 발명가, 연구원 차별 실체 연이어 드러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연구결과가 연이어 발표되면서다. 남녀 간 임금 격차도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생명
공학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4월호에 따르면 특허 심사 과정에 무의식적인 차별이 일어나 여성 발명가의 특허 인정(등록) 수와 비율을 모두 떨어뜨리는 ‘성 편향(gender bias)’ 현상이 ... ...
비만-아토피-암 치료 돕는 한국인 장 속 ‘착한 미생물’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분양 가능 성인 200여 명의 대변 시료 속 장내 미생물의 메타게놈 분석 결과. -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서울대병원·천랩 배양 결과 연구진은 메타게놈 분석에서 예측한 미생물 3350종 중 300여 종의 실물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이 중 58종은 새롭게 발견된 종으로 확인됐다. 우리 몸에 유익한 세균으로 ... ...
“팔이 없지만 당당한 우리들”
팝뉴스
l
2018.04.12
알 수 있다. 이른바 ‘의수’라는 것을 착용하고 있다. 그들은 ‘바이오닉 암’ 즉 ‘생체
공학
팔’이라고 부른다. 어감이 훨씬 근사하다. 사진 공개자는 사진 오른쪽 아래의 여성 엔젤 주프리아. 태어날 때부터 팔이 없었다. 그녀는 핸디캡을 극복하고 활기차게 살고 있다. ‘헝거 게임’에도 ... ...
“돌고래 ‘제돌이’ 방류, 한국사회에 해양생물 보호 인식 심어 줬죠”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이어졌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
부 학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세준 씨(27)는 한국이 2013년 아시아 최초로 돌고래를 자연 방류한 사건의 사회적 파급 효과를 분석해 최근 국제학술지 ‘코스털 매니지먼트’ 2018년호(46호)에 발표했다. 브래들리 ... ...
차세대 M램 소재 개발...전원 꺼져도 작업 내용 날릴 걱정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1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경진 고려대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은 박병국 KIA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차세대 ‘자성메모리(MRAM)’ 개발에 필요한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연구에는 미국국립연구소, 김갑수 KAIST 물리학과 교수팀 등도 참여했다. 컴퓨터 작업 중 미리 저장해 두지 ... ...
이전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