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64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추천한 책들을 훑어보니 과학책이 없어도 너무 없었다. 안 되겠다 싶어 정서가 메마른
인간
처럼 보이더라도 과학책만 네 권 추천하기로 마음을 바꿨다. 아예 수학, 물리, 화학, 생물로 한 권씩 골랐다가 좀 심하다 싶어서 물리는 빼고 심리/신경과학 책으로 바꿨다. 필자가 지금까지 읽은 ... ...
“그녀가 날 사랑하도록 프로그래밍했나요?”
2015.01.18
등장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게 등장한 AI가 튜링테스트를 가볍게 통과한다고 해서
인간
에 가까운 진짜 지능을 가졌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 단지 뛰어난 검색 기능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대답을 들려주도록 프로그램된 것은 아닐까. 이달 21일 개봉하는 영화 ‘엑스 마키나’는 튜링테스트 ... ...
바오밥나무와 사랑에 빠진 식물학자
2015.01.18
활용한 이야기는 해리포터다. 저자들은 이 책이 해리포터가 사는 마법의 세계를 ‘머글(
인간
)’의 입장에서 쓴 해설서라고 소개한다. 예를 들어 해리포터와 친구들이 타고 다니는 마법의 빗자루에 가장 근접한 기술로 ‘로켓 벨트’를 뽑아 설명하는 식이다. 로켓 벨트는 1953년 ... ...
꼬리 치는 야생 여우, 있을까 없을까
2015.01.16
유전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슬리 워런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
인간
이 주는 먹이를 받아먹으며 생긴 유전적 변이가 야생고양이를 길들이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한국 로봇 ‘휴보’ 더 커지고 더 힘세졌다
2015.01.16
80kg의 육중 한 체구를 갖췄다. - KAIST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 제공 국내에서 개발한
인간
형 로봇 ‘휴보’가 업그레이드됐다.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오준호 교수팀은 6월 미국 퍼모나 시에서 열리는 ‘세계 재난구조로봇경진대회(DRC·DARPA Robotics Challenge)’ 최종결선에 진출하기 위해 새롭게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모습은 다시 한번 충격적으로 바뀔지 모릅니다. ● 최초 인류는 ‘도구적
인간
’일까 300만~350만 년 전 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왼쪽). 침팬지만 한 두뇌를 가졌고 도구를 쓰지 못했다. 오른쪽은 현생인류 모형. - 과학동아 제공 인류의 또다른 특징이라고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13
있다. 하지만 로봇 기술은 좀처럼 과거의 영화만큼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인간
이 의족이나 의수 대신 팔 다리에 착용하는 보조 로봇, 통칭 ‘인공 팔다리’ 기술은 영화 속의 기술을 지금도 숙제로 남아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에너지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기계와 사람의 물리적 ...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갑자기 운동장에 쓰러졌다. 국가대표를 지내기도 한 전도유망한 타자는 그대로 식물
인간
이 되어 10년 후 하늘나라로 떠났다. 롯데자이언츠 임수혁 선수의 이야기다. 당시 임 선수를 쓰러트린 병명은 ‘부정맥’이다. 심장의 전기적인 신호에 문제가 생겨 박동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는 병을 말한다.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레트로바이러스라고 부른다.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는 레트로트랜스포존의 한 유형으로
인간
게놈에서 8%를 차지한다. 물론 이 가운데 대다수는 돌연변이가 축적돼 활성을 잃은 ‘화석’ 상태, 즉 정크DNA다. ‘사이언스’에 실린 글은 레트로트랜스포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L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두 개의 줄로 바뀐다. 여기서 우리는 아주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관측의 주체는
인간
이 아니라는 거다. 아니 지능을 가진 어떤 존재도 아니다. 풀러렌이 공기분자와 부딪혀서 어느 슬릿을 지났는지 ‘우주’가 원리적으로 알 수 있으면 관측이 일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측을 물리학자들은 ... ...
이전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