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6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정녀 마리아 처녀수태, 가능할까
2014.12.23
를 하는 것이 가능할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캐롤린 할펀 공공보건의학과 교수팀은
인간
도 상어나 코모도드래건처럼 단성생식을 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가능성을 지난해 영국 의학분야 학술지 ‘BMJ(British Medical Journal)’ 크리스마스 특별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94년부터 3년간 자신이 ... ...
암세포 ‘에너지 공장’만 골라 죽이는 항암물질 개발
2014.12.23
집중공격하는 데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실험용 쥐에
인간
의 암세포를 주입한 뒤 표적항암제를 투여하자 암 조직이 눈에 띄게 사멸한 것으로 확인됐다. 표적 항암제인 ‘세라노스틱7’을 주입하지 않은 쥐(왼쪽)와 ‘세라노스틱7’을 처방한 쥐(오른쪽)의 암세포 덩이 크기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논문과 책을 썼다. 사랑, 혐오, 이타주의 등
인간
의 여러 본성도 효용을 최대화하려는
인간
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게 그의 관점이었다. 제럴드 에델만 (1929. 7. 1 ~ 2014. 5. 17) 뇌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려고 했던 면역학자 제럴드 에델만. - 강석기 제공 ‘네이처’와 ... ...
동서양의 교두보 ‘보스포루스’에서 과학의 역사를 보다
2014.12.21
과학기술의 융합까지 과학사의 흐름을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넘나들며 살필 수 있다.
인간
의 출현에서부터 과학의 역사를 다루는 것은 물론, 여러 모습으로 형성된 문명의 탄생을 살피며 지역·문화적 차이에 따라 다르게 발전한 과학의 모습과 특성을 총망라한다. 그동안 서양의 근대과학을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
2014.12.19
등을 만들 수 있다.
인간
의 뇌를 모방한 컴퓨터 칩도 올해의 주요 성과로 뽑혔다. IBM은
인간
의 뇌신경 구조와 기능을 모방해 만든 컴퓨터 칩 ‘트루노스(TrueNorth)’로 26억5600만 개의 전자 시냅스를 구현했다. 또 인도네시아에서 4만 년 전에 그려진 동굴 벽화가 발견되면서 미술의 발상지가 ... ...
앵무새 뇌에는 노래 유전자가 3개
2014.12.14
하나의 가상 생태계로 대기와 해양의 변화까지 함께 고려했다. 연구진은 이를 이용해서
인간
의 활동이 지구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미래를 예측할 예정이다.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갱년기뿐만 아니라 우울증과 불안, 초조 등을 유발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는
인간
의 다양성을 설명하는 데 호르몬을 빼놓을 수 없으며, 한 개인의 상태가 시시각각 변화하는 이유도 호르몬의 영향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지식적인 차원에서 호르몬에 대한 상식을 넘어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크게 변하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원리로 진동을 감지한다. - ‘네이처’ 제공 거미는
인간
이 느낄 수 없는 매우 미세한 음성이나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 거미 발목 근처에 있는 미세한 균열 사이의 거리가 진동에 의해 변하면 신경세포가 이를 감지해 알아채는 원리다. 미래부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접근하지 못했던 미생물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을 메타지노믹스라고 부른다.
인간
은 수정란 단계에서 하나의 세포로 존재한다. 하지만 분열이 계속되어 태어날 때는 약 3조개의 세포를 가지게 되고 어른이 되면 약 60조에서 100조개까지 늘어난다. 여기서 놀라온 사실은 우리 몸의 미생물은 ... ...
A형 독감예방 주사 한 대 맞았을 뿐인데…
2014.12.09
참가자의 혈액 샘플 중 77%에는 H3H2 외에도 H5를 포함한 다양한 조류인플루엔자와
인간
인플루엔자인 H7 아형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항체가 든 것으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인플루엔자 아형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항체를 가진 참가자도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독감 예방접종을 하지 ... ...
이전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