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KAIST교수들은 프로젝트에 매달리기에도 바쁘다. 그래서 일반 대학원에서는 '과학자'를
양
성하고 KAIST에서는 '기술자'를 기른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KAIST석박사의 졸업논문중에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다가 부수적으로 얻은 것이 많다.한국과학의 큰 산인 KAIST는 벌써 20년의 전통을 쌓아 놓았다.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두개이상의 단어를 일정한 차례를 두고 조합해서 쓴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양
엄마인 마타타가 누군가를 물려고 하면 '마타타 문다'(Matata bite') 식으로 주어진 마타타의 상징을 먼저 두드리고 마타타가 누군가에게 잡히면 '잡다 마타타'(grab Matata)의 차례로 상징을 누르는 것이다.한편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별들의 길잡이인 '겨울철 대삼각형'은 저녁의 황혼 속으로 사라지기 시작한다. 국자 모
양
의 북두칠성이 이 달의 밤 10시 경 머리 위에 오게 되어 북쪽 별들의 길잡이가 되어 준다. 북두칠성의 손잡이 곡선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 오면 오렌지 색의 밝은 1등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별은 목동자리의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강도라는 말은 이 등급에 의한 분류다. 한편 규모는 지진발생시에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
을 나타내는 척도로 관측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우리나라의 경우는 다행스럽게도 주 지진대(main seismic belt)로부터 다소 벗어나 있고, 20세기 들어 지진으로 인한 심각한 피해는 없었다.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비판정신과 함께 창의적 새 과업을 수행하기에 부족하지 않을 깊고 넓은 학문적 소
양
을 쌓아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오직 이러한 자세와 준비를 갖출 때 오늘의 과학자는 학문 그 자체에서의 창의적 성과 뿐 아니라 현대 문명이 당면한 가장 심각한 위기상황에서 인류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낼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겨내는데 도움이 될만한 식품을 몇가지 거론해 보았다. 이 글을 읽은 과학자 식품영
양
학자중 일부는 과학적 분석과 측정의 기초가 박약하므로 믿을 것이 못된다는 반론을 제기할지도 모른다.그러나 우리 조상들이 먼 옛날부터 그 효능을 믿고 애용해 온 식품에는 과학적인 측정이나 분석을 통해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한편으로는 매혹적인 것이기도 하다. 신학자인 루돌프 오토가 말하는 타자(other)에 의한
양
면가치(ambivalence)의 누미노제(Das Numinose)의 체험을 하는 것이다.과연 이들의 체험이 무엇인지를 몇가지 사례로부터 알아보자.1961년 9월 19일 밤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휴가를 즐기고 돌아오고 있던 힐 부부는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야행성이다. 주로 다른 동물들이 먹다 버린 썩은 고기를 먹고 살지만 조그만 동물이나
양
염소 같은 작은 가축을 잡아먹기도 한다.그러나 얼룩 하이에나처럼 집단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두마리 이상의 줄무늬 하이에나가 같이 다니는 것을 보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개의 공격도 제대로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병역대신 방위산업체에 취직하거나 유학을 택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
적 변화 못지않게 질적변화를 가져온 조건은 대학 바깥에 있다.85년 이후 기업의 R&D(연구개발비)비용과 정부의 과학기술투자액은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지적소유권제도의 적용, 특허권시비등 ... ...
정보화시대의 기술인력 기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변경된 것. 이에 대해 교사들은 '수업시간수가 다르고 보다 구체적인 목적의 전문인력을
양
성하는 만큼 교과과정의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힌다.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문제는 전산고등학교 졸업생의 대우문제다. 현재의 정보처리기능사자격시험 기준으로는 고교졸업의 경우 ... ...
이전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