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성 호르몬 과다가 불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LH가 분비됐다. 또 임신한 여성 중 LH가 많이 분비된 여성들의 유산율은 65%였던데 반해 LH
양
이 정상인 여성의 유산율은 12%에 그쳤다.지금까지 자연유산의 원인은 설명된 적이 없어 이 영국팀의 가설은 학계에서 적잖은 주목을 끌고 있다. 자콥스 박사는 불임증으로 고민하는 여성들 중 몇 퍼센트가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어렵게 시작된 교류가 정치적 난기류속에서도 지속돼 결실을 맺으려면 남북
양
측 학자들의 구체성을 담은 교류 노력과 만남이 계속돼야할 것이다. 또 한번의 공명(功名)보다는 실제적인 신뢰를 쌓는 자세로 이들의 만남을 지원할 정부의 '숨은 뒷받침'도 절실하다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벌레도 못 먹는 약에 절인 채소를 우리는 일상적으로 먹고 있는 셈이다.농약의 남용은 토
양
오염을 필연적으로 초래하고 우유 소 사람 등이 2차 3차 오염의 피해자가 된다.우리는 이렇게 오염되어 가는 환경을 그대로 두고 볼 수는 없다. 방치했다가는 인류전체의 멸망을 앞당기는 결과가 되기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탄생했고 4월에는 태
양
계가 속한 은하계가 모습을 드러냈다. 9월 9일에 이르러서야 태
양
계가 형성됐고 그로부터 며칠 후에 지구가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10월 초순에 최초의 생명(원핵생물)이 탄생했다고 볼 수 있으며 11월 중순에는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 출현했다. 곧이어 핵을 가진 최초의 생물도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소련의 로봇 MT-88과 MT-89는 음향으로 조종되는 자동화 로봇으로 이들은 이미 대서
양
과 노르웨이 연안에 침몰한 두 대의 소련 잠수함을 찾은 바 있다. 이들은 음향 외에 지자기(地磁氣)가 금속체가 있는 곳에서 휘어지는 것을 탐지하는 자력계(magnetometer)도 이용했다. 소련은 이 기계들을 서방세계에 팔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귀족 성직자 율법사만이 사용했다. 지금도 그 문자들이 기념석주, 신전의 벽, 용설란 잎,
양
가죽 등에 새겨져 전해지고 있다.마야문학의 극치마야문학의 극치로는 포폴 부(Popol Vuh, 계명서란 뜻)를 들 수 있다. 이 책은 외부의 영향을 조금도 받지않은 순수 토착적인 내용으로 일관한다. 일부 학자들은 ... ...
「정보화」의 두얼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지역간 정보격차의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지역별로 충분한 정보인력의
양
성 및 지역정보화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수도권의 인구 및 산업을 지방으로 분산하는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된 단계가 아니기 때문에 명확한 전망을 하기에는 이르나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금속이 있는가 하면 해로운 금속도 있다. 그런데 이 둘은 서로 중복되기도 한다. 문제는 얼마나 적정량을 섭취하느냐에 ... 상황을 피하려면 될 수 있는대로 여러 식품을 골고루 섞어 먹어야 한다. 다시 말해 영
양
소의 밸런스를 유지해야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다 ... ...
블랙홀이 지구에도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건너온 몇 개의 중성미자를 검출한 바 있는데 미니 블랙홀이 산출하는 중성미자의
양
은 그 수천배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미니 블랙홀이 있으리라고 예상되는 지역, 가령 활화산 부근에서 중성미자의 생성여부를 시험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이는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일뿐더러 조사해볼 가치 또한 ... ...
자외선의
양
측정 콘택트 렌즈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저항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 피부에 조사된 자외선의
양
을 측정하는 방법도 현재 연구중이다. 아무튼 이 연구가 더 진척되면 자외선이 피부와 눈에 미치는 악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 ...
이전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