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나아가 이 유전자를 집어넣어 준 유전자이식 실험동물이 만들어지거나 실험실 내에서 배
양
이 가능한 숙주세포가 개발된다면 프라이온의 신비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 것이다.요컨대 이런 알맹이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단계가 되면 이 오리무중의 질병에 관한 연구는 물론이고 프라이온의 ... ...
핵폐기물 처리 완벽한 기술 아직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능하다. 이를 군(群)분류라 부른다.군분류된 핵종들을 가속기에서 고에너지로 가속된
양
성자로 충돌시키면, 쪼개져 핵변환이 일어나 안정된 원소로 변한다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실험실 수준에서 이미 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방법이 개발되면 핵폐기물처리에 큰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잉카의 대표적인 석조건물은 쿠스코의 코리칸차(Coricancha)다. 일명 황금의 울타리 또는 태
양
의 신전이라 일컬어지는 건물이다. 그리고 쿠스코시에서 기차로 약 4시간을 달려가면 마추 픽추(Machu-Picchu)라는 요새와 같은 산상도시가 나온다. 이곳의 모든 민가와 공공건축물은 석조로 돼 있다. 현기증이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조사했더니, 당장 2월에 두 학생이 생일이 같았다. 학생들은 우연이라고 생각하는 모
양
이었지만 이는 엄연히 확률계산에 의해서 입증되는 바 거의 반드시(97%) 같은 생일을 갖게 마련이다.또한 이는 컴퓨터를 통해 많은 경우를 시행해서 결과를 유출해 낼 수도 있다. 이를 몬테 칼로(Monte Carlo) ... ...
음
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집어넣기만 하면 된다. 이때 생년월일은
양
력이든 음력이든 상관없는데 이는 컴퓨터가
양
력일 경우 알아서 음력날짜로 환산해주기 때문이다. 자료가 입력되면 컴퓨터는 자체적으로 주역을 풀이하여 30분 동안 무려 20페이지에 달하는 개인의 운세를 뽑아 준다. 출력내용에는 우선 주역에 대한 간단한 ... ...
한글을 잘쓰는 요령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꼬리말 표지에 놓고 꼬리말을 선택한다. 지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꼬리말을 선택하고
양
쪽면 짝수면 홀수면 중 하나를 선택한다. ② 꼬리말 윈도가 나타나면 꼬리말을 입력한다. ③ 다시 꼬리말을 선택하면 꼬리말 표지가 나타난다. 홀수면 꼬리말 표지의 위에는 점이 한 개, 짝수면 꼬리말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여유가 있어 보인다. 일본의 환경관련 연구기관도 그의 주장에 고개를 끄덕인다. 자외선
양
의 증가속도가 유럽보다 훨씬 느리다는 자체 조사결과도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아시아대륙에서 산다고 해서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지구 성층권을 엉망으로 만든 오존층의 구멍은 때로 학자들을 당황하게 ... ...
PARTⅡ 항공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가스배출속도의 가속을 얻을 수 있다. 터빈에서 나온 혼합가스는 아직도 많은
양
의 공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연료를 다시 분사 점화시켜 얻은 열에너지로 더 높은 속도를 확보하는 방법을 후기연소기방식이라 말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아직 해결하지 못한 두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하나는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양
을 지도할 수 있는 처지가 못되어 에드워드 텔러에게 지도를 부탁했다. 텔러는
양
의 관심을 실험물리학에서 이론물리학 쪽으로 돌리게 함으로써 6년 뒤 노벨 물리학 수상자로 탄생시켰다.1987년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인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인 일본과학자 도네가와(利根 川 進)는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상이 완전한가, 그렇지 않은가라는 인식론 문제에 쏠려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양
자이론은 자연의 객관적 실재성을 승인한다는 측면에서 실재론적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이를 거부 혹은 부분적으로 승인한다는 측면에서 도구론적인 이론인가에 모아져 있는 것이다.그러나 여기에는 간과할 수 ... ...
이전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