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어트하다가 어지러워지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잘 흡수하지 못한다.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지 않거나 다이어트를 위해 식사종류 또는
양
을 제한하는 경우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철분소실이 증가돼 철분결핍 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왕왕 있다. 그 원인으로 가장 흔한 것은 남자의 위장질환에 의한 출혈과 여자의 월경에 의한 혈액소실이다. 혈액 ... ...
음
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집어넣기만 하면 된다. 이때 생년월일은
양
력이든 음력이든 상관없는데 이는 컴퓨터가
양
력일 경우 알아서 음력날짜로 환산해주기 때문이다. 자료가 입력되면 컴퓨터는 자체적으로 주역을 풀이하여 30분 동안 무려 20페이지에 달하는 개인의 운세를 뽑아 준다. 출력내용에는 우선 주역에 대한 간단한 ... ...
한글을 잘쓰는 요령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꼬리말 표지에 놓고 꼬리말을 선택한다. 지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꼬리말을 선택하고
양
쪽면 짝수면 홀수면 중 하나를 선택한다. ② 꼬리말 윈도가 나타나면 꼬리말을 입력한다. ③ 다시 꼬리말을 선택하면 꼬리말 표지가 나타난다. 홀수면 꼬리말 표지의 위에는 점이 한 개, 짝수면 꼬리말 ... ...
핵폐기물 처리 완벽한 기술 아직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능하다. 이를 군(群)분류라 부른다.군분류된 핵종들을 가속기에서 고에너지로 가속된
양
성자로 충돌시키면, 쪼개져 핵변환이 일어나 안정된 원소로 변한다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실험실 수준에서 이미 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방법이 개발되면 핵폐기물처리에 큰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잉카의 대표적인 석조건물은 쿠스코의 코리칸차(Coricancha)다. 일명 황금의 울타리 또는 태
양
의 신전이라 일컬어지는 건물이다. 그리고 쿠스코시에서 기차로 약 4시간을 달려가면 마추 픽추(Machu-Picchu)라는 요새와 같은 산상도시가 나온다. 이곳의 모든 민가와 공공건축물은 석조로 돼 있다. 현기증이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유전공학이 소개되면서 우리가 자주 듣게 된 용어들 중에는 개념이 잘 잡히지 않는 것이 많다. 그런 아리송한 「전문용어」들의 참 뜻 ... 고부가가치 단백질의 대량생산, 유전병의 치료, 작물과 가축의 품종개량에 이르기까지 다
양
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잠재력은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여유가 있어 보인다. 일본의 환경관련 연구기관도 그의 주장에 고개를 끄덕인다. 자외선
양
의 증가속도가 유럽보다 훨씬 느리다는 자체 조사결과도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아시아대륙에서 산다고 해서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지구 성층권을 엉망으로 만든 오존층의 구멍은 때로 학자들을 당황하게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묵묵히 서 있다.이곳이 바로 가장 번화하고 우아한 거리인 쿠담의 시발점이다. 쿠담의
양
옆에는 호텔 백화점 극장 상점들이 화려한 모습을 자랑하고 있다. 저녁시간이면 이곳은 현지인들과 베를린 여행자들의 한가로운 산책로로 변한다. 인도를 거의 메우고 있는 노변가페가 여름거리를 온통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는 곳을 여는 데 필요한 것이다.셰르만과 오스틴은 한 장소에 수용되었다. 이들의
양
식이 되어줄 먹이도 한 곳에 숨겨져 있었으며 도구도 하나 뿐이었다. 결국 이 조건은 두 녀석이 도구를 나누어 쓰지 않을 수 없게 했다.셰르만과 오스틴이 나타낸 능력들, 즉 기호사용·협동·도구사용기술 등은 ... ...
금이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된다. 어쩌면 육지에 갇힌 다른 바다나 호수속에 보다 풍부한 금이 있을는지 모르나 그
양
은 어느 곳이나 많지 않다. 적어도 사람들이 과거에 생각해왔던 만큼은 아니라는 것이다.물론 우리는 바다의 거대함을 깨달아야 한다. 지구상의 바닷물은 그 무게가 총 1백40경(京), 혹은 1백40만조(兆)톤 가량 ... ...
이전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