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주석의 비율인 75 대(對) 25, 또는 80 대 20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여기에 적당한
양
의 아연과 납을 섞어 만들었다.조선 초의 기술자들은 한국청동이 활자로 활용하기에 알맞은 금속임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고려 때부터의 전통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청동활자의 주조와 인쇄기의 개량을 ... ...
마지막 입자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페르미 연구소는 지금까지 방출해왔던 수준보다 더 높은 에너지
양
으로 입자들을 분쇄할 준비를 하고 있다. 그렇게 분쇄한 파편들 가운데서 톱 쿼크를 포함한 입자가 발견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만약 그들이 실패한다면, 물리학자들은 그들이 그동안 애써 정립한 전체 구조 ... ...
비디오·오디오·TV를 통합한 멀티미디어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직장과 가정에서 차갑고 사용하기 불편한 괴물이 아니라 처음 대해도 낯설지 않은 모
양
새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아마도 컴퓨터와 텔레비전용으로 각각의 화면을 갖는다는 개념은 5~10년내에 없어질 것이다. 그리고 미래의 신부들은 구입해야할 혼수품 품목에서 텔레비전 오디오 비디오 등의 ... ...
PARTⅠ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기없는 혁명」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예이다.후기산업사회에서는 정보산업의 바탕이 되는 교육수준이 높은 아시아 태평
양
지역이 북미 유럽과 더불어 또하나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역사적으로 모든 사회는 수송수단 에너지시스템 통신 등 세가지 하부구조에 의해 연결되어왔다. 이제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사람들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연구될 전망이다.인간에 의한 유류오염은 앞으로도 증가될 것으로 보이며, 마지막까지 해
양
오염원으로 존속하게 될지도 모른다. 자연적 정화능력을 인위적으로 최대한 증진시킴으로써 유류오염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학적 연구가 앞으로 더욱 절실해질 것이다 ... ...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보다 정확한 비교연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또한 그동안 남북한 학자들의 노력으로 평
양
지방과 충북지방의 석회암동굴에서 많은 옛 짐승뼈화석을 발굴, 복원하였기에 뚜렷한 연구결론이 기대 된다.모쪼록 이번 공개를 시발점으로 남북한유물의 교환전시, 전공학자들의 상호방문의 길이 열려 우리 ... ...
박테리아 광부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작용하도록 할 수 있을지 모른다.만일 이 산업성 있는 박테리아가 그들에겐 영
양
분이 되는 폐기물에서 서식하면 쓰다버린 금속은 재활용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우리는 금속을 다 소모시켜 버리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The Bacterial MinersA group of scientists at the Idaho National Engineerin ...
진공의 세계를 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제기됐다. '진공'이라는 아무 것도 없는 공간을 인정한다는 것을 무척 불안하게 생각한 모
양
이다. 예를 들면 '유리를 뚫고 지나갈 수 있는 물질이 있다', 혹은 '빛도 일종의 물질이니 완전한 진공은 아니다'라는 강력한 반대들이 있었다. 파스칼은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은 사고방식으로 해결했다. ... ...
약물중독 유전될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먹으면 GABA와 반응하는 수용체(receptor)의 활동이 둔화되어 결과적으로 뇌 속의 GABA
양
이 증가됨으로써 불안이 누그러진다. 최근에는 GABA의 부족과 알코올중독의 대물림현상의 관계를 밝히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회적 요인 무시 비난도약물중독의 원인을 생물학적으로 규명하려는 과학자들은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김승업(54·브리티시콜럼비아대 신경내과교수) 신용무(59·사스카체안대 핵물리학교수)
양
옹진(59·토론토대 기생충연구소장) 유봉열(55·뉴브룬스윅대 식물유전학교수) 이영(58·카레톤연구소·유체역학) 이병훈(48·맥길대 유전공학교수) 정영섭(53·몬트리올대·미생물유전학) 등이 쟁쟁한 활동을 ... ...
이전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