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전문자격증 따는 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일이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자재를 중심으로 생산계획을 세울 경우 필요한 자재의
양
이 적어 생산에 차질을 가져오거나 반대로 불필요한 자재는 계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제조업체는 재고비용이 늘어날 것이고 이는 원가상승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 ...
체르노빌 핵노출 진압 조종사 사망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완벽한 백혈병 치료법으로 인정되는 골수이식수술을 받았다. 그가 이식받은 골수는 대서
양
건너의 한 프랑스 여인 것으로 그녀는 국제적인 골수기증자 모임의 일원이다.골수이식결과는 성공적이었으나 수술과는 무관한 폐질환의 발병으로 그간의 노력은 허사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그리시첸코는 ... ...
PARTⅠ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기없는 혁명」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예이다.후기산업사회에서는 정보산업의 바탕이 되는 교육수준이 높은 아시아 태평
양
지역이 북미 유럽과 더불어 또하나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역사적으로 모든 사회는 수송수단 에너지시스템 통신 등 세가지 하부구조에 의해 연결되어왔다. 이제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사람들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김승업(54·브리티시콜럼비아대 신경내과교수) 신용무(59·사스카체안대 핵물리학교수)
양
옹진(59·토론토대 기생충연구소장) 유봉열(55·뉴브룬스윅대 식물유전학교수) 이영(58·카레톤연구소·유체역학) 이병훈(48·맥길대 유전공학교수) 정영섭(53·몬트리올대·미생물유전학) 등이 쟁쟁한 활동을 ... ...
낙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긴 눈썹이 있어 모래바람을 막아준다. 뿐만 아니라 그늘 하나 없는 뙤약볕 아래에서 태
양
의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눈꺼풀도 이중으로 되어 있어 아무리 모래바람이 불어도 끄떡 않고 사방을 볼 수 있다.낙타의 눈은 '먼산 바라보기'다. 우직하고 순박하게 생긴 눈은 항상 초점도 없이 ... ...
박테리아 광부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작용하도록 할 수 있을지 모른다.만일 이 산업성 있는 박테리아가 그들에겐 영
양
분이 되는 폐기물에서 서식하면 쓰다버린 금속은 재활용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우리는 금속을 다 소모시켜 버리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The Bacterial MinersA group of scientists at the Idaho National Engineerin ...
하늘이 지구를
양
육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매연과 스모그가 있는 도시의 하늘에서 반짝이는 별들을 보기는 어렵지만, 여름휴가철 휴
양
지나 별이 쏟아지는 해변에서 가족과 함께 별자리를 찾으며 어린시절 들었던 견우와 직녀의 전설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때 VDT증후군의 심각성을 날로 더해갈 전망이다.VDT의 규제에 대해서는 미국에서도 찬반
양
론이 갈려있다. 12개주만이 VDT규제법안을 적용하고 있을 뿐 민간 기업들의 반대로 입법화가 더딘 편이다. 규제반대론자들의 주장은 VDT에 대한 의학적 규명이 아직 완전하지 않다는 것. 국내에서는 노동부가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결정했는데 이것은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오류였다.현재 소련에는 퍼스널컴퓨터를
양
산할 수 없고, 공장기계용의 첨단과학장치나 또는 전산화된 제어장비도 물론 없다. 소련 전국의 퍼스널 컴퓨터수는 1989년 현재 약 30만대 밖에 안된다. 소련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는 미국의 크레이사나 일본의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더불어 오늘날 식물유전공학의 발달을 가능케 하였다.요컨대 식물체에 암을 유발하는 토
양
세포, 아그로박테리움에 대한 연구는 마침내 이 세균의 유해한 면들을 인간에게 유용한 방향으로 돌려 놓았을 뿐더러 식물유전공학의 길을 열게 하였다. 또한 옥신의 일종으로 인공합성된 2.4-D는 식물의 과속 ... ...
이전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