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철학없는 기능교육만 강조되다보니 과학분야에 전문인은 많이 배출됐어도 사회
전체
에 과학적 사고의 뿌리는 깊지 못한 형편"이라고 꼬집는다.한 사회의 과학발전과정에서 전문과학인 양성 못지않게 중요한 과학대중화. 그 일선을 담당하는 교양과학도서출판이 출발단계인 지금 몇가지 문제점을 ... ...
에너지 절약기술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상업화되기 어렵다(과학동아 90년 1월호 참조).정부는 2001년까지 대체에너지를 개발해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3%를 충당한다는 목표를 설정해 놓고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어느 정도 실현될지는 미지수. 유가변동 추이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경제성이 크게 달라지고 국가의 지속적인 개발의지에 ... ...
자원절약과 오염방지의 이중효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설립했는데, 여기에서는 지난 10년간 약 30만3천 t의 농업용 폐비닐을 수집했다. 이 물량은
전체
밭면적의 2.7배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연간 발생하는 폐비닐은 약 90만 t 가까이에 이르고 있어 수집비율은 5% 내외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 열분해방법 등 기술개발 절실재활용이 가능한 산업용 ... ...
도로를 보다 과학적으로 관리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교통여건을 감안해 어떻게 하면 혼잡과 정체를 줄일 수 있을까. 이 문제를 풀려면
전체
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제어하는 지역의 교통성격을 정밀하게 파악해야 한다. 교통량은 물론이고 차종, 시간대별 및 요일별 변동상황을 체크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일상적으로 ... ...
사라진 태양 중성미자는 어디에?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이렇다면 우주학자들이 우주의 구조와 진화를 이해하는데 열쇠가 될 것이라 생각해온
전체
우주질량의 90%에 이르는 암물질(暗物質, dark matter)에 대해 많은 부분을 새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즉 앞으로 계속될 관측에서 중성미자가 발견된다면 그것이 입자물리학이나 천체물리학 우주론에서 갖는 ... ...
난방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핵심은 단열재를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소비량 가운데 가정용 및 상업용건물의 에너지소비량이 87년 34.2%, 88년 32.2%, 89년 29.41%로 해마다 줄고 있는 것은 단열재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를 외벽 기준으로 50cm ... ...
발 달린 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발목뼈, 그리고 세 개의 발가락뼈가 있다.그러한 고래다리들은 바실로사우루스의
전체
크기에 비해 매우 작으며 따라서 유용성이 신통치 않았을 것이다. 영구적으로 굽어 있으므로 육지에서의 가치가 있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헤엄치는데도 유용성이 없었으리라. 얕은 물의 진흙을 헤쳐나오는데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않고서도 컬러매프의 색상만을 조절함으로써 그림그리기가 가능하고, 화면 수정시에도
전체
를 수정할 필요없이 부분적인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한편 많은 픽셀들을 갖고 있는 사각형 모양의 컴퓨터스크린을 포함한 컴퓨터 모니터의 내부세계를 흔히 월드(world)라고 부르는데 이는 월드를 ... ...
특수문자처리와 모양내기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그림자 속성을 가진 글자들에게 밑줄 속성도 부여하고 싶다고 하자. 이때는 문서
전체
를 블럭으로 만든 다음 〈Alt+L〉키를 누르고 밑줄 속성만을 선택한다. 그리고 '-찾기-'를 선택하여 그림자 속성만을 선택한다. 이제 '-완료-'를 선택하면 된다. 만약 그림자 속성을 없애고 밑줄 속성으로 바꾸려면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커크우드 틈새 계속 발견되는 소행성들의 궤도가 계산되고 목록화되면서, 소행성대의
전체
형태에 뚜렷한 특징이 있음을 알게 됐다. 태양에서 3.28AU와 2.50AU 떨어진 곳에 소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뚜렷한 틈새가 발견된 것이다. 1866년 미국의 천문학자 다니엘 커크우드(Daniel Kirkwood)는 이 틈새의 존재를 ... ...
이전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