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조성과 생성 과정이 밝혀졌다.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공동연구팀은 뉴호라이즌스호의 분광장치(LEISA)로 촬영한 초해상도 공간 스펙트럼 데이터를 사용해 크툴루 지역에 있는 메탄과 질소의 분포를 지도로 나타냈다. 그 결과, 크툴루 지역 산꼭대기에 형성된 서리는 ... ...
-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줄이는 방법은 간단하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면 된다. 미국 워싱턴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7월 23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폐기물 관리, 재활용 등을 시행하면 204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을 2016년 대비 40%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폐기물 재활용 시설을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과거에 래스커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올터 부소장과 호턴 교수는 2000년 래스커상을 공동 수상했고,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실제로 간염을 일으킨다는 것을 입증한 찰스 라이스(68) 미국 록펠러대 교수도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한 마이클 소피아 박사 등과 함께 2016년 래스커상을 받았다. 트렌드 3. 196 ... ...
- [한페이지 뉴스]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메네게티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연구원 볼로냐천체물리관측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HST)과 초거대망원경(VLT)으로 초거대 은하단 MACSJ1206 등 3개의 은하단을 관측하던 중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수십 배가량 강한 중력렌즈 현상을 발견했다.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 ...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상승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메드아카이브 9월 9일자에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가 동시에 유행하는 상황에서 바이러스의 전파력을 예측한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에 단독으로 감염된 환자는 평균적으로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구자들은 세계 각국에서 업로드한 데이터를 사용해 언택트 시대에 더욱 글로벌한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됐다. 가령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적과 나이를 가진 환자들의 데이터가 필요한데, 방대한 환자 데이터를 한 곳에 공유함으로써 신속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증식을 억제하려는 연구도 활발하다. 필자의 연구팀은 안진현 성균관대 의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5 유전체에 263개의 4중나선 구조 서열이 존재하고, 이들 중 일부가 바이러스의 전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doi: 10.1371/journal.ppat.1007334연구결과, 감염과 연관된 유전자를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러시아와의 공방도 힘들었지만 내부를 이해시키는 일도 결코 쉽지 않았다. 한·러 공동조사단이 2차 발사 실패 원인을 한 가지로 도출하지 못한 것을 두고, ‘발사 실패에 대한 원인규명도 없이 3차 발사를 강행한다’ ‘러시아와의 불평등 계약으로 실패 원인조차 제대로 파악 못했다’는 내용의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있는 유용한 정보이기도 한다. 공동연구팀은 1월 제주 해상에서 죽은 채 발견된 참고래 공동부검을 진행한 바 있다. 몸길이가 13m인 참고래의 위장과 소장에는 낚시줄과 스티로폼, 어망 조각 등 플라스틱 입자가 가득했다. 이는 참고래가 헤엄치는 동아시아 바다에 플라스틱이 존재한다는 증거다.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로봇공학전공, 피부에 '착' 전자 피부로 실시간 건강 진단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존 로저스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과학 및 공학과 교수와 함께 발전시켰다. 당시 공동연구로 개발한 실리콘 전자 피부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5년 3월 18일자에 소개됐다. doi: 10.1038/ncomms7566현재 장 교수팀이 개발 중인 전자 피부에는 가속도 센서, 심전도 센서, 온도 센서가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