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쿨리포트 A+] 쉽고 재미있게 과학 영상 소개하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주제를 선정해 이해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이때 지식정보처리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학생들은 인터넷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활용해 선정된 주제와 관련된 영상이 있는지 찾습니다. 선정한 주제에 대해 설명하는 동영상을 선택해 소개 ... ...
- [수학뉴스] 저글링 수학자, 에르되시 친구 로널드 그레이엄 세상을 떠나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아니라 1972년 국제저글링협회장을 맡아 일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수학자와 공동연구하고 수학 단체를 위해 일했던 그레이엄은 생전 저글링과 트램펄린을 즐겼다고 합니다. 지금쯤 하늘나라에서 에르되시와 함께 또 다른 연구를 하고 있지는 않을까요 ... ...
- 코로나19 치료에 덱사메타손 득일까? 실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이 논란의 중심이다. 덱사메타손이 주목받기 시작한 건 6월 22일, 영국 옥스퍼드대 등 공동연구팀이 코로나19 임상시험 프로젝트 ‘리커버리(RECOVERY)’의 결과를 의학 분야 논문 초고 등록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에 발표하면서부터다. 논문에 따르면 총 2104명의 코로나19 환자에게 매일 ...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우주과학연구팀장은 “2030년대 유인 화성 탐사 등 국제 공동 프로젝트 참여를 목표로 삼고 있다”며 “6월 말 신설 팀을 꾸려 한국이 유인 화성 탐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항우연이 유력한 후보로 꼽는 기술 중 하나는 생명 유지 ... ...
- 코로나19 팩트체크┃누가 인간에게 옮겼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추측은 꾸준히 제기됐지만, 명확한 근거는 없었다. 최근 펑가오 미국 듀크대 메디컬센터 공동연구팀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박쥐와 천산갑의 코로나바이러스 사이에서 만들어진 잡종 바이러스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박쥐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만들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유전체혁신연구소와 덴마크공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임신부의 대변, 티베트의 온천, 남아프리카의 생물반응기, 바다, 호수 등 40가지 이상의 환경에서 얻은 대규모 DNA 데이터베이스에서 351개의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발견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중국과학원(CAS)을 포함해 이탈리아, 나이지리아, 브라질 등의 국제공동연구팀이 2018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전 지구 바이러스체 프로젝트(The Global Virome Project)’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포유류와 조류(약 1만 5000종)에 감염되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은 바이러스가 최대 167만 종에 이를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치료제를 쓸 수 있을 것이다. Q. 코로나19는 언제 종식될까? 코로나19 종식을 위해서는 공동체의 60% 이상이 면역력을 가져야 한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기초감염재생산지수(R0)가 2.5명 정도로 예상된다. 이는 감염자 한 명이 평균 2.5명을 감염시킨다는 뜻으로, 계산하면 인구의 약 60%가 ...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이드에게 이런 점을 고쳐달라고 꼭 말해 주세요! _INTERVIEW 조약골(핫핑크돌핀스 공동 대표) “우리나라에 아직 36마리의 고래가 갇혀 있어요!” Q 우리나라 수족관의 고래 상황은 어떤가요? 올해 2월 기준으로, 전국 7곳의 수족관에 큰돌고래 25마리, 남방큰돌고래 1마리, 두 돌고래의 혼종 ... ...
- [과학뉴스] 물방울 모양 별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쌍성계로, 서로를 약 1.6일 만에 공전할 만큼 매우 가까이에 있거든요. 논문의 공동 저자인 영국 센트럴 랭커셔대학교 돈 커츠 교수는 “이론적으로만 존재할 것으로 생각했던 별을 처음 발견한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