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이제는 집에서 사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세상이 된 것 같아요. 그래서 결심했어요. 다음 집을 고를 땐 기후재난에도 끄떡없는지 먼저 고려할 거라고.”좋은 결심입니다. 부지, 건물, 그리고 인프라. 부동산의 3요소라 할 수 있죠. 각각의 요소를 조목조목 따져 A씨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아 ... ...
- [특집] 어과동 독자라면 도전! 어린이 능력고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쓰이는 ‘ㅈㄱㄴ’는 무슨 뜻일까? 자유 영역(생각 맞추기) ●다음 문제를 푸는 어린이 독자는 원하는 대답을 써 주세요.●문제를 푸는 보호자는 어린이가 쓴 대답을 추측해서 써 주세요.●문제를 풀고 난 후 서로의 생각을 비교해 보세요! 9. 어린이가 가장 존경하는 ... ...
- [특집] 이건 사야 해! 일단 쓰고 보자, 민구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없어요. 내가 포기한 기회비용을 생각하며 후회하기 마련이니까요. 부등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지요. 나의 소비 습관은? 현명한 소비를 하려면 가장 먼저 자신의 소비 습관을 알아야 해요. 한 달 동안 내가 용돈을 어디에 얼마나 쓰는지 파악하는 거예요. ‘고정비’와 ‘변동비’로 나눠서 ... ...
- [특집] 모기 트랩을 설치하자!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수학 모형인 ‘SIR 모형’을 이용해 말레이시아의 뎅기열 확산 모형을 만들었어요. 그다음 말레이시아 곳곳에 모기 트랩을 설치하고 여러 실험 데이터를 얻었지요. 컴퓨터 모형을 이용해 주어진 모기 트랩 수와 인간 수, 모기 개체 수에 따라 뎅기열 예방 효과가 어떤지 예측했습니다. 수학과 통계가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8장. 절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일이 일어날까요? 즉, G(G)는 정상 종료할까요, 무한반복에 빠지고 말까요? 충분히 생각한 다음에 답을 확인해 보세요. 먼저 G(G)가 정상적으로 종료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것은 Halt(G, G)가 거짓임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Halt(G, G)가 거짓이려면 G(G)는 정상 종료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은 모순입니다.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② 우린 이걸 ‘기후위기’라 부르기로 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터널을 짓든, 분산 저장 시설을 만들든, 다음 홍수에 단단히 대비해야 할 이유는 분명하다. ‘기후위기’ 때문이다. 많은 전문가가 “기후위기 때문에 이번 같은 홍수가 더 잦아질 것”이라고 말한다. 기후위기 의심론자는 아니지만, 궁금하긴 하다. 홍수나 가뭄이 날 때마다 ‘이게 다 기후위기 ... ...
- [3교시]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마법학교에 입학하세요! 일본 연구팀의 연구를 참고해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봅시다. 다음은 4개의 팀을 원정과 홈 경기를 구분해 맞붙는 팀 조합을 점으로 찍은 것입니다. 빨간색은 홈 팀, 검은색은 원정 팀이에요. 같은 팀과 연달아 경기할 수 없고, 3번 연달아 홈 또는 원정 경기를 할 수 없다면 ... ...
- [수학 뉴스] 순식간에 대학교 수학 문제 푸는 AI 나왔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이후 이 AI는 몇 가지 질문만 제시하면 자연어 수학 문제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바꾼 다음 코드를 만들어 문제를 풀었습니다. 연구팀은 기존의 대학 수학 문제를 푸는 AI는 자연어로만 학습시켜 정답률이 낮았다고 판단하고 다른 방법을 시도해 본 거예요. 그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AI는 수학 문제 26 ... ...
- [수학체험실] 퍼즐로 이해하는 케플러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9호
- 홈마다 공을 놓아 B층을 만든다. 두 층의 구가 겹쳐지지 않게 엇갈려 놓인다. 이제 그 다음 층을 만들어야 하는데, 여기서 육방 밀집 구조와 면심 입방 구조의 차이가 생긴다. 육방 밀집 구조에서는 A층과 구의 x좌표 위치가 같아 배열 형태가 똑같은 층을 쌓는다. 반면 면심 입방 구조에서는 3층에 A, ... ...
- [에디터노트] 12년 전 독자위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 임기가 1년이었는데 후반기로 갈수록 참석률이 급격히 떨어졌죠. 다음해 모집한 2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2기를 끝으로 과학동아 최초의 독자위원회는 문을 닫았습니다. 돌이켜 추측을 해봅니다. 독자들은 다들 바쁜 사람들입니다. 애정을 가지고 시간을 내어 이야기합니다.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