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예를 들어 어떤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설계자는 하나의 커다란 문제를 여러 문제로 쪼갠 다음 각각의 작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를 고안해 내 AI가 솔루션을 수행할 수 있게 지정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즉 그 어떤 시기보다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이 강조될 거예요. 그러니 개발자를 꿈꾸는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 음성 연구하던 박사 AI 성우로 창업하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하는 기업이 거의 없었다. 1980년대 잠시 컴퓨터공학 붐이 있었지만, 반짝 인기가 끝난 다음엔 더 이상 비전이 없는 분야로 여겨졌다. LG전자에 입사했던 이유도 음성 관련 연구 부서가 있는 사실상 유일한 기업이었기 때문이다.2010년대 중반, AI가 이용된 기술이 여러 분야에서 잇따라 실용화됐다.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건축가 ‘빌더’로 더 멋지게, 화려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생겨요. ➏ 코드 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를 ‘1’로 약속하세요. ➐ ‘플레이어-다음 치트키 실행’ 명령블록을 세 번 가져와 화면과 같이 세 가지 명령을 적으세요.위에서부터 각각 모든 플레이어들을 서바이벌 모드로 바꾸는 명령, 모든 플레이어의 사망 시 스폰(부활) 포인트를 정하는 ... ...
- [특집] 모기 트랩을 설치하자!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수학 모형인 ‘SIR 모형’을 이용해 말레이시아의 뎅기열 확산 모형을 만들었어요. 그다음 말레이시아 곳곳에 모기 트랩을 설치하고 여러 실험 데이터를 얻었지요. 컴퓨터 모형을 이용해 주어진 모기 트랩 수와 인간 수, 모기 개체 수에 따라 뎅기열 예방 효과가 어떤지 예측했습니다. 수학과 통계가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8장. 절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일이 일어날까요? 즉, G(G)는 정상 종료할까요, 무한반복에 빠지고 말까요? 충분히 생각한 다음에 답을 확인해 보세요. 먼저 G(G)가 정상적으로 종료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것은 Halt(G, G)가 거짓임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Halt(G, G)가 거짓이려면 G(G)는 정상 종료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은 모순입니다. ... ...
- [수학체험실] 퍼즐로 이해하는 케플러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9호
- 홈마다 공을 놓아 B층을 만든다. 두 층의 구가 겹쳐지지 않게 엇갈려 놓인다. 이제 그 다음 층을 만들어야 하는데, 여기서 육방 밀집 구조와 면심 입방 구조의 차이가 생긴다. 육방 밀집 구조에서는 A층과 구의 x좌표 위치가 같아 배열 형태가 똑같은 층을 쌓는다. 반면 면심 입방 구조에서는 3층에 A, ... ...
- [에디터노트] 12년 전 독자위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 임기가 1년이었는데 후반기로 갈수록 참석률이 급격히 떨어졌죠. 다음해 모집한 2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2기를 끝으로 과학동아 최초의 독자위원회는 문을 닫았습니다. 돌이켜 추측을 해봅니다. 독자들은 다들 바쁜 사람들입니다. 애정을 가지고 시간을 내어 이야기합니다. ...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회사가 버블과 함께 사라졌다. 일반 소비자에게까지 디지털 혁명이 이어지는 것은 다음 세대로 미뤄졌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같은 소수의 소프트웨어 거인이 시장을 지배했다. 다른 기업들은 거인의 하청업체로 전락했다. 업계는 처참하게 망가졌다. 가장 말단이었던 중소기업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못 보던 꽃이 보인다는 지역 주민의 제보를 받고 무인도의 절벽을 탄 적도 있다. 인터뷰 다음 주엔 덕유산 등지를 조사하러 간단다. 허 연구원은 “반달가슴곰이 사는 곳이라 곰을 쫓기 위해 방울을 딸랑거리며 다녀야 한다”며 웃었다.정제돼있는 도시 생활을 하며 자연에서 일어나는 일을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② 우린 이걸 ‘기후위기’라 부르기로 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터널을 짓든, 분산 저장 시설을 만들든, 다음 홍수에 단단히 대비해야 할 이유는 분명하다. ‘기후위기’ 때문이다. 많은 전문가가 “기후위기 때문에 이번 같은 홍수가 더 잦아질 것”이라고 말한다. 기후위기 의심론자는 아니지만, 궁금하긴 하다. 홍수나 가뭄이 날 때마다 ‘이게 다 기후위기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