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초능력자 물곰도 사랑은 어려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올라요. 우리나라 첫 쇄빙선●인 아라온호의 냉장고 한 칸에 몸을 싣고 인천시 송도에 위치한 극지연구소로 향한 거예요. 사실 며칠을 굶어도 끄떡없는 물곰에게 어렵지 않은 항해지요. 물곰의 진짜 모험은 실험실에서 시작돼요.●쇄빙선 : 수면의 얼음을 부숴 극지방의 항로를 열기 위한 특수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물체파’라고 하죠. 물체파는 물체의 표면에 맞고 반사되기 때문에 물체의 위치와 모양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어요. 이후 기준파와 물체파가 감광판에서 만나 서로 간섭을 일으키고, 이때 생긴 간섭무늬가 감광판에 기록돼요. 감광판은 사진 필름과 같아요. 필름을 인화하면 사진이 출력되듯, ... ...
- [특집] 고수의 조언 4 기술로 따스함까지 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열이 나는 장치인 ‘열전소자’를 이용했어요. 전류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열이 나는 위치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지요. 덕분에 물건을 만지기 전, 후의 온도를 다르게 느낄 수 있어요. 또, 연구팀은 이 열전소자를 유연한 구조로 만들어 늘어나도 끊어지지 않고 피부에 잘 붙도록 했답니다. 연구를 ... ...
- [특집] 가볍게 들고다니며 시간을 알아보자. 혼개통헌의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천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시계입니다. 하지만 야외에서 사용해야 하고 관측차의 위치에 제약이 있으며 날씨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죠. 현대에는 이런 단점을 개선해 ‘플라네타리움’이라는 장비를 사용합니다. 플라네타리움은 천문학과 밤하늘에 대한 교육, 밤하늘을 보며 배를 ... ...
- [기획] 스케이트 보딩, 에너지를 창조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이런 상황에서는 스케이트 보더가 출발선에 있을 땐 속력이 0이기 때문에 오로지 위치에너지만 존재합니다. 또 최저점에서는 높이가 0m이므로 운동에너지만 존재합니다. 염동한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실제로 저항에 의해 에너지가 소실된다”며 “선수가 더 많은 회전을 필요로 하는 기술을 ... ...
- [연중기획] 학교에서 배우는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3탄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들어 좌표평면 위에 빨간 점과 파란 점이 마구 찍혀있다고 가정합시다. 이때 점의 색과 위치를 인공지능에 학습시키면, 스스로 점을 나눌 기준을 찾습니다. 그럼 같은 색을 갖는 점끼리 묶거나 점이 어느 사분면에 있는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죠. 이처럼 비슷한 특성을 갖는 데이터를 묶는 과정을 ... ...
- [IBS×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또 나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다. 데이터가 모이는 핵심 라우터의 위치를 알기 위해 스페인 현지의 엔지니어와 손짓과 발짓을 모두 섞어가며 소통했고, 한국-스페인 수교 후 57년 만인 2007년에 열린 한국-스페인 정상회담에 초대되어 후안 카를로스 국왕과 고(故) 노무현 전 ... ...
- [SF 소설] 화성의 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모양일 때만 작동했지만 중심에 놓는 기계를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치한 네 기계 앞 머리 위치에 놓았을 때 가장 그럴싸한 모양이 만들어진다는 것. 각각의 기계를 연결할 때 튀어나오는 막대가 다리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 아마도 이것은 곤충 모양의 움직이는 기계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것은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여러 번 소실됐지만 조선 왕조는 이를 계속해서 만들었어요. 어찌보면 당시 국보의 위치에 있던 물시계라고 볼 수 있겠죠. 용어정리* 표준시 : 한 국가 또는 넓은 지역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준 시간. 현재 우리나라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9시간 빠른 UTC+9를 표준시로 사용한다 ... ...
- [한페이지 뉴스] 블랙홀 뒤에서 새어 나온 빛 관찰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따라 경험하는 중력적색편이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광자의 에너지 분포를 분석하면 방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추가로 관측된 작은 X선 플레어는 블랙홀의 강착원반 뒤에서 반사돼 방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블랙홀이 공간과 빛, 자기장을 휘어지게 한 덕분에 블랙홀 뒤에서 방출된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