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수학 국가대표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않다고 생각해요. 예술작품도 실용적인 측면에서 쓸모가 있는 건 아니잖아요. 아름다움 자체가 쓸모가 아닐까요. 저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처럼 아름다움이 있는 수학을 연구하고 싶어요.송승호 저는 우선 대학에서 수학을 비롯해 여러 가지 경험을 해 보고 싶어요. 저에게 잘 맞는 일이 무엇인지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비행종단 한계선은 순간낙하점 한계선 보다 5도 정도 안쪽으로 설정한다.발사장 부지 자체의 안전성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로켓은 극한 환경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지상 환경시험을 모두 통과해 일차적으로 성능이 검증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우주 공간에서 계획대로 비행을 실현하기가 결코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인식해 심성어휘집에서 선택 과정을 거쳐 인지한다”면서 “이와 동시에 철자를 음성 자체로 받아들여 인지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박휘벌레’라고 써도 ‘바퀴벌레’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이런 소리기반인식경로 덕분이다. 철자 상으로는 ‘박’과 ‘휘’가 합쳐졌지만 한국인이라면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다. 이들은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절단하는 뉴클레이스를 이용해 모기의 유전자 자체를 망가뜨렸다. 연구팀은 두 종류의 뉴클레이스를 이용했다. 하나(I-PpoI)는 흡혈을 하는 암컷이 아예 태어나지 못하게 만든다. 암컷의 성염색체는 XX다. 이를 위해서는 성염색체를 X와 Y 둘 다 갖고 있는 ... ...
- 인도, 달 향한 꿈 쏜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6시 21분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하리코타에 있는 사티시다완 우주센터에서 자체 개발한 우주발사체 GSLV MK Ⅲ에 찬드라얀 2호를 실어 발사할 예정이었지만, 발사 56분 전 기술적인 문제로 발사가 중단됐다. 당시 인도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TOI)는 발사체 1단에서 압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당장 훈련이 중단될 수도 있는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야 했다. 예산이 부족하니 비행 자체를 포기할 것인지, 아니면 과학 임무 없이 비행만 하고 돌아올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기도 했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불안한 상황을 타국에서 견디기 힘들지 않았을까. 그는 “당시에 내가 할 수 ... ...
-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통합 4년제 과정 중에서도 딱 하나뿐이다. 그래서 교환학생을 가고 싶다면 교육 과정 자체를 바꿔야 하고, 혹시라도 1년을 보낼 다른 대학 실험실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교육 과정이 일반 4년제로 자동 변경된다.한 학과에도 다양한 교육과정이 있는 만큼 교환학생이 아니어도 경험을 쌓기 좋은 교육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마찬가지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떠돌아다니는 사진을 비롯한 동영상은 그 자체로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지만, 이 데이터들을 가공해서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학습시키면 데이터로 입력된 사물을 알아볼 수 있게 될 겁니다. 그리고 이런 일이 가능해진다면 인공지능은 우리가 지금까지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일으키는 단백질에 달라붙어서 기능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 자체를 제거한다는 점에서 신개념 질병 치료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 교수팀은 고속 대량 스크리닝법을 이용해 유비퀴틴 꼬리표가 붙은 정크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돕는 유력한 후보 물질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현장 시험 결과 GM 모기 방사로 인해 그 양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GM 모기 자체도 기존 생태계에 없던 물질이다. 옥시텍은 GM 모기가 알만 낳고 죽도록 설계했지만, 실제로는 최대 15%까지 계속 생존하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됐다. 더불어 GM 모기에 삽입된 유전자가 다른 종에게 옮겨질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