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안"(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거대한 진화를 의미한다고 밝히고, 이를 ‘캄브리아기 생물 폭발’이라고 부르자고 제안했어요. 지금도 이 용어는 캄브리아기 초기부터 중기까지 일어난 생물 진화를 일컫는 말로 널리 쓰이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머글편] 신비한 동물 사전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홍채처럼 신체 한 부분이 아닌 얼굴 전체를 열쇠로 사용하자는 아이디어가 새롭게 제안되었지요.사람마다 얼굴 모습은 모두 다 다르기 때문에 특이점이 될 요소가 많아요. 눈과 코, 입의 위치는 물론 얼굴의 다양한 근육이 움직이는 패턴을 이용할 수도 있지요. 특이점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사람을 ... ...
- [현장취재] 민물고기 탐사대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주제로 탐구를 진행해 과학전람회 장관상을 수상했어요. 바로 그 꾸구리를 보자는 제안에 2차 탐사가 시작됐어요. 잠깐 꾸구리만 보고 가려던 계획은 꾸구리를 비롯해 밀어, 쉬리 등을 보느라 저녁까지 이어졌답니다.“이제 3차 탐사는 어디로 가요?”오랜 탐사에 지친 어른들과 달리 학생들은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는 1991년 중국이 본격적으로 백두산 연구를 시작하기 전부터 중국 측에 백두산 조사를 제안해왔다. 젊은 백두산이 앞으로도 분화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한 명의 외국인 과학자가 낸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996년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지질과학총회(IGC)에서 ... ...
- Part 4. 요원들이 억울하게 붙잡힌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위험해 보이는 승객을 뽑는 방법의 기하 평균에 해당하는 ‘제곱근 편향 추출 방법’을 제안했어요. 제곱근 편향 추출 방법은 쉽게 말하면 어떤 승객이 범죄를 일으킬 사전 확률 p를 제곱근 p( p)로 바꾼 다음 검색 대상자를 뽑는 방식입니다.그러면 사전 확률이 일정 값 이상인 검색 대상자의 수도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미국의 대표 화산학자들과 공동으로 국제대륙과학시추프로그램(ICDP)에 올해 백두산 시추 제안서를 냈다. 프로젝트 이름은 ‘엄마(Ultra Deep Monitoring for Magma Activity, UMMA)’다. 만약 성공하면 분화할 가능성이 높은 대형 화산의 땅 속 마그마가 있는 깊이까지 구멍을 뚫은 최초의 사례가 된다.다행히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는데, 역화가 일어나면 금방 찢어진다”며 “금속 재질의 유연한 관으로 바꿀 것을 제안할 예정”이라고 말했다.물론 최근 출시되는 LPG차에는 역화를 막기 위한 최신 기술이 탑재돼 있다. 예컨대, LPI 차량은 LPG연료를 상대적으로 불이 붙기 어려운 액체 상태로 공급해 화재위험을 줄였다. 흡기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다윈은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 이론을 제안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부속 가설들도 함께 제안했다. 고래가 곰으로부터 진화했으리라는 가설도 그 중 하나였다. 이 가설은 물론 기각됐다. 그렇다고 해서 진화 이론도 함께 기각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 고래의 조상이 곰이라는 가설은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 글을 쓴 목적은 이타적 행동이 어떻게 자연 선택됐었는지 밝히는 일반 이론을 제안하기 위함이 결코 아니었다. 할데인은 그저 작은 개체군이 이타성의 진화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설명하고자 했다.사실, ‘개체군 유전학’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글은 개체군 유전학의 기본 원리와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자였다. 하디는 인도에 있는 라마누잔을 영국 케임브리지대로 불러 함께 연구하자고 제안한다. 그렇게 두 사람은 함께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후 수많은 수학적 업적이 나오게 된다.그런데 라마누잔의 삶은 영국에서도 평탄하지 않았다. 인종차별을 당하기 십상이었고, 학교에서는 라마누잔이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