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안"(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제시했다(러플린은 몇 년 뒤인 1983년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설명하는 기막힌 이론을 제안했고, 이 업적으로 1998년 노벨상을 수상했다).그러나 정수 양자 홀 효과를 가장 완벽하고 우아하게 설명하는 이론은 단연 사울레스의 1982년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사울레스 연구팀은 홀 전도도 값이 결국 전자가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자였다. 하디는 인도에 있는 라마누잔을 영국 케임브리지대로 불러 함께 연구하자고 제안한다. 그렇게 두 사람은 함께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후 수많은 수학적 업적이 나오게 된다.그런데 라마누잔의 삶은 영국에서도 평탄하지 않았다. 인종차별을 당하기 십상이었고, 학교에서는 라마누잔이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않고 진행한다. 한국 과학계의 연구 현실이 떠오르는 대목이었다.한국 과학자들이 제안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현황이 어떤가. 향후 한국 과학자들과의 협력 계획에 대해서도 알고 싶다.CERN에는 굉장히 다양한 연구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그 가운데 자기홀극(monopole)을 찾는 모에달(MoEDAL) 실험과,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를 하고 있다. NASA는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베록 코시네비스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한 콘투어 크래프팅 기술을 눈여겨 보고 있다. 이 기술은 지구에서 도 ‘핫’한 기술로 2015년 중국의 6층 주택을 짓는 데에도 활용됐다. 이 기술은 재료(주로 콘크리트)를 층별로 쌓아 올리는 적층 방식으로 건축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 글을 쓴 목적은 이타적 행동이 어떻게 자연 선택됐었는지 밝히는 일반 이론을 제안하기 위함이 결코 아니었다. 할데인은 그저 작은 개체군이 이타성의 진화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설명하고자 했다.사실, ‘개체군 유전학’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글은 개체군 유전학의 기본 원리와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 BNKR 건 축’이라는 설 계사무소는 ‘ 어스 크래퍼(Earthscraper)’라는 지하도시를 제안했다. 어스크래퍼는 초고층 건물이라는 뜻을 가진 스카이스크래퍼(skyscraper)에 대비되는 건축물로, 초고층건물을 지하에 거꾸로 박아 넣은 역 피라미드 형태다. 에코시티 2020 구상과 마찬가지로 10만 명을 수용할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하는 도넛 모양의 자기핵융합실험장치도 레베데프 물리연구소에서 처음 제안한 것입니다. 토카막이라는 단어는 러시아어 ‘도넛형 자기장 코일 챔버(тороидальная камера с магнитными катушками)’의 머릿글자를 따서 만든 합성어입니다.1991년 소련이 붕괴된 이후 러시아가 ... ...
-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발광소자를 합쳐, 빛으로 전기를 만들 수도 있고 전기로 빛을 낼 수도 있는 광전소자를 제안한 것이다.송명훈 교수는 가로등에 붙어 있는 태양전지판을 보고 아이디어를 냈다. 이 가로등은 낮에는 태양전지판으로 전기를 만들어 저장하고, 밤에는 이 전기를 이용해 가로등 전등으로 불을 밝힌다.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마치면 대부분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밟는다. 권 교수도 몇 군데에서 제안을 받았다. 제안이 들어온 곳 중에 프린스턴대가 있었다. 프린스턴대는 미국에서도 손가락 안에 드는 명문대다.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 권 교수는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밟게 됐다.“그런데 박사 과정을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없었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기존의 문제를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풀어보겠다는 정도의 제안을 해 왔다. 그는 “노벨상급 좋은 연구 성과는 소재를 선택하는 방법부터 연구 수행 방법까지 모두 달라야 한다”며 “지금처럼 남들과 똑같이 해서는 그런 성과를 내기 힘들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