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징"(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설명했다. INTP의 가장 큰 강점은 논리력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것들을 특징에 따라 분류해내는 능력이다. 현상을 분석하고 그 안의 원리를 찾아내는 연구 분야에서 일할 때 이런 장점을 살리기 쉽다. 김 연구부장은 “과학기자로서 분석 기사를 쓸 때도 이런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을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독감과 비슷한 근육통, 기침 등이 증상으로 나타나며 38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사스의 원인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CoV·coronavirus)의 변종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표면에 왕관 모양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가 있어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원을 먹어치우는 식세포로 활동하는 동시에, 일부는 항원 조각을 먹은 뒤 항원의 특징을 담은 단백질을 세포 표면에 발현하고 성숙시킨 뒤 림프절로 이동한다. 림프구에 알려 면역반응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다. 림프절로 이동한 수지상세포는 먼저 T림프구를 불러내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 과학자는 선천 면역반응과 후천 면역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생체 내 핵심 물질을 규명하고, 이런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는 경로를 밝혀 ... 전개하고 있다”며 “최근 20년간 생물의학 연구 기술이 크게 발달한 만큼 코로나19의 특징을 분석하고 방어물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침투 자체를 방해하는 부착 및 침투억제제도 있다. 부착 및 침투억제제는 바이러스의 특징을 영리하게 역으로 활용한 경우다. 바이러스는 단독으로 존재할 땐 증식이 불가능하고, 오직 숙주세포에 침투한 상태에서만 숙주의 효소를 이용해 증식할 수 있다. 즉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붙거나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돼 감염된 세포를 찾아 이동한 뒤 적을 물리친다. 비활성 B림프구가 바이러스 C의 특징을 수지상세포 등에게 교육받을 때 일부는 형질세포가 되지만 일부는 기억 B림프구가 돼 장기간 몸에서 살아남는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C가 몸에 재침입할 경우 기억 T림프구가 활성화되는 동시에, 기억 ...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받은 연구 결과는 19건의 논문으로 발표됐습니다. 그래프로 알아내는 외계행성의 특징대다수 외계행성은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수십~수백 년을 날아가야 도달할 수 있는 먼 거리에 있습니다. 그런데 별빛을 가리며 지나가는 것만 관측해도 외계행성인지 아닌지, 행성의 크기와 질량, 궤도,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분절된 유전체를 가진 바이러스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는 유전자 중 항원 단백질이 완전히 새로운 아형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 때문에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신종으로 모습을 바꾸고, 주기적으로 유행을 일으킨다. 항원소변이는 유전체에 돌연변이가 생기는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자손에게 수직적으로만 전달할 수 있다. 수평적 유전자 이동은 미생물에서만 관찰되는 특징이다. 하지만 HIV는 자신의 유전자를 숙주 세포에 넣거나 뺄 수 있고 숙주 간 유전자 이동도 가능케 한다. 실제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양유전자(oncogene) 중 MYC, RAS 유전자는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자연살해세포는 항체나 표식 없이도 구체적인 대상을 죽일 수 있을 만큼 강력하다. 이런 특징 덕분에 ‘살해(killer)’라는 무시무시한(?) 단어가 이름에 포함됐다. 이밖에도 자연살해세포는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의 증식을 차단하는 신호물질을 분비하며, 선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식세포들이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