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실
과일
실과
결과
결실
너트
조리개
어린이과학동아
"
열매
"(으)로 총 63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션수행] 우리집 배나무에 꽃이 폈어요. 여태까지 배는 한번도 못먹었어요. 엄마가 그러시
탐사기록
l
20140407
[미션수행] 우리집 배나무에 꽃이 폈어요. 여태까지 배는 한번도 못먹었어요. 엄마가 그러시는데 5년이 지나야
열매
를 먹을수 있대요 ...
사월이 되었다고 주목에 꽃이 피었네요. 아쉽게도 암꽃만 보이고 수꽃은 안보이네요. 빨강 열
포스팅
l
20140406
사월이 되었다고 주목에 꽃이 피었네요. 아쉽게도 암꽃만 보이고 수꽃은 안보이네요. 빨강
열매
먹고 가을에 놀던 기억이 나네요. ^^ ...
구석기 시대로 타임머신을 타고 간다?! 국립중앙박물관 심화교육 후 작성한 기사
기사
l
20140324
사람들과 말이 잘 안 통했지만 나는 그들과 아침을 구하러 사냥을 갔었지. 사실 나는 구석기 시대 사람들도 사냥을 하는 줄은 몰랐어.
열매
채집만 하는 줄 알았거든. 그런데 날씨가 엄청 춥더라. 최후 빙하 극성기여서 그랬다고 해. 또 춥기 때문에 고기를 꼭 먹어야 힘이 나기에 오늘은 꼭 동물을 잡아야한다고 어느 분이 말해 주셨어. 오늘 우리가 ...
참나무과 나무들 산에 올라가면 만나게되는 활엽수들~
기사
l
20140314
산을 오르면 여기저기 나뭇잎들이 비슷한 나무들이 많아요. 그런데, 똑같지는 않아요.그래서 그 나무들을 '참나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내가 종류가 많아서 구별이 어렵지만 참고 노력하면 알아볼 수 있을거다 ... 나무 잎사귀는 잎사귀에 가시같은것이 돋아있어요.이제 준비가 되었으면 참나무들과 대화를 나누어 보세요.잎사귀로 구분하고
열매
를 구별하다 ...
과천의 공기가 맑은지 어떻게 알까요? 국수나무를 바라보며
기사
l
20140311
시들어 붙어있는것 처럼 보이거든요. 8~9월에 씨방이 많고 잔털이 있는 지름 2~3㎜ 정도의 둥근
열매
가 갈색으로 여문다. 다 익으면
열매
껍질이 갈라져 한 씨방에서 1~2개의 씨앗이 나와요. 겨울에도 가지에 매달려 있어요. 어과동 여러분이 사시는 산에 올라가면 주위에 국수나무가 있는지 한번 주위를 둘러보셔요.회화나무를 많이 심었다 ...
판타스틱! 2009 첨단 농업 쇼(2)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13
찾아 내고 없던 기능 성분을 추가하기 위해 연구 중이에요. 그건 생명공학 기술이 있기에 가능하죠. 식물이 성장해서 꽃을 피우고
열매
를 맺는 과정에는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어요. 이 유전자와 유전자가 만들어 내는 단백질이나 대사물질을 활용해서 우리가 필요한 소재를 생산할 수 있죠. 예를 들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비타민 C는 밀감이나 고추에는 많이 ...
판타스틱! 2009 첨단 농업 쇼(1)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13
백열등보다 5~6배 높아 에너지를 훨씬 많이 절약할 수 있어요. 또 빛을 조절함으로써 농작물에 영양소가 더 많게 하거나, 꽃을 피우고
열매
를 맺는 과정도 조절할 수 있고요. 실제로 메밀싹에 LED와 태양빛을 각각 쪼여 주었더니, 태양빛보다 LED 빛을 받은 메밀싹에서 항암 성분인 루틴이 17배, 비타민 A는 10배 더 많았다고 해요. {tIMG ...
후끈후끈~, 동물들의 겨울나기 비법(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12
조류도 견디기 힘들 만큼 극심한 추위지. 또한 추위만큼 우리를 두렵게 하는 건 먹이야. 겨울이 되면 얼음으로 덮이는 땅은 곡식, 나무
열매
등을 즐겨 먹는 우리에겐 죽음의 장소와 마찬가지란다. 그래서 먹이도 풍부하고 날씨도 비교적 따뜻한 남쪽으로 날아오는 거야. 그러니 이 정도 추위쯤은 아무 것도 아니라고. 아아~, 그렇다고 너무 실망하진 마. ...
살아 숨쉬는 자연의 보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12
즐기고 있어요. 동박새는 우리나라 텃새로 한반도 남쪽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곤충이나 식물의
열매
를 먹고 살아요. 소쩍새 입선/박성배 천연기념물 제324호인 소쩍새는 수줍은 성격이라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아요. 하지만 밤에는 ‘소쩍~ 소쩍~’하는 독특한 울음 소리를 낸답니다.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고 살아요. 할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30
차이랍니다. 예로부터 과일씨를 약에 쓰기는 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공주님처럼 중독증상을 겪을 수 있어요. 또 처음 보는 과일이나
열매
를 먹어서도 안 돼요. 우리가 흔히 먹는 식품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먹어서 안전성이 검증되었지만, 야생 과일이나 버섯 등을 함부로 먹다가는 큰 탈이 날 수도 있어요.” 닥터고글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는 백설공주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