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면장애 환자 왜 깊은 잠 못들까?
과학동아
l
200501
칼슘채널’유전자가 손상되면 깊은 잠을 자지 못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미국
과학원회보’(PNAS) 12월 15일자에 발표했다.정상적인 경우 깊은 잠에 빠지면 뇌에서‘델타파’라는 뇌파가 주로 나오고 이 델타파 생성에 뇌의시상에 있는‘T타입 칼슘채널’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01
활동을 지원한다. 홍보담당자인 로슬린 카메론씨에 따르면 에콰도르, 코스타리카, 칠레,
미국
, 영국, 일본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온 총 158명의 과학자가 현재 이곳에서 일하고 있다.연구소 뒤편으로 돌아가보니 거북을 인공 부화시켜 기르는 곳이 있다. 그 근처에 의외로 태양전지판이 설치돼 있다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01
수 있으며 독일보다
미국
이 먼저 원자폭탄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전쟁은
미국
이 원자폭탄을 일본에 떨어뜨리면서 끝났다. 광복절이 8월 15일로 정해진 것도 아인슈타인의 영향이랄까.전쟁이후 이 공식은 원자력발전을 통해 평화적으로 이용된다. 아인슈타인도 나중에 자신의 주장에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01
버팀목 역할을 했다.또 당시 만연했던 매카시즘(극단적 반공주의)에 대한
미국
지식인들의 저항에도 적극 동참했다. 변절자로 몰려 사형 선고를 받았던 공산주의자 물리학자 부부 에설과 줄리어스 로젠버그 사건에 적극 개입했다.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과 함께 동료과학자들에게 호소문을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01
물질을 통합하는 ‘통일장 이론’에 대한 책이었다. 당시 연구 조수였던 존 케메니(훗날
미국
다트머스대 총장이 됨)는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모든 정열을 다 바쳐서 우주의 법칙을 찾으려 했다”고 회고했다.아인슈타인에게는 상대성이론의 큰 성공만이 아니라 실패도 있었다. 인생의 후반부를 ... ...
흡수식에 완승 거둔 응축식 냉장고
과학동아
l
200501
당시 이런 판매 전략은 선진적이었고, 이 전략에 힘입어 응축식 냉장고는 빠르게
미국
의 가정으로 전파됐다. 대도시에 점점 개수가 늘어나던 전기발전소도 응축식 냉장고에 유리했다.반면 흡수식 냉장 기술은 가정용 시장에서 점차 몰락의 길을 걸었다. 1926년 스웨덴의 칼 문터스와 발짜 폰 플래튼이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전자현미경으로관찰하다가 우연히 가늘고 긴 관 모양의 구조를 발견한 것이죠. 그 뒤로
미국
의 물리학자 스몰리 교수는 여러 가닥의 탄소나노튜브가 다발처럼 묶인 것을 만들어 냈답니다.그럼 임지순 박사님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탄소나노튜브 여러 개를 다발로 묶으면 반도체가 된다는 사실을 ... ...
내가 장난감으로 보이니 - 로보사피엔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걷고, 춤도 추고, 방귀를 끼고 트림까지 하는 로봇 친구가 등장했으니까요.로보사피엔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출신의 과학자 마크 틸튼이 개발한 첨단 장난감 로봇으로 ‘과학기술과 인간성의 결합’을 이룬 장난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올해 초 세상에 나온 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답니다. ... ...
“꿈을 담아 쏘아 올린 로켓!”-채연석 원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2
당당히 한몫을 했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었죠. 꿈은 이루어진다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미시시피대학에서 항공우주공학박사 학위를 따고 국내에 돌아온 채연석 원장님은 지금의 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 합류해 로켓 개발에 뛰어 듭니다. 1990년대 초 일찌감치 액체 연료의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교수님은 모든 것을 처음부터 공부하면서 결국 뛰어난 동물행동학자가 되고야 맙니다.
미국
대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동물행동학 교수로 인정받으면서‘젊은과학자상’을 받았고 국내에서는 동물행동학을 재미있게 다룬 책들을 쓰면서 과학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정말로 ... ...
이전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