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미국 MIT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알렌 구스 박사다. 1980년, 당시 MIT 대학의 젊은
연구원
(박사후 과정)이었던 그가 제창한 이 혁명적 이론은 60년대 우주론의 최대 사건, 즉 예견되었던 우주배경복사선의 발견에 필적하는 중요성을 지닌 업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의 처음 ... ...
원자력·의약품 분야에서 단연 선두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전통적인 기초기술에 첨단기술을 접합시켜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전략으로 유럽은 기울어져가는 구대륙의 자존심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유럽의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많은 사람들이 "유럽의 과학기술은 이제 퇴보했다"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유럽의 과학기술은 퇴보한 것처럼 ... ...
2 유로네트워크로 「하나의 유럽」 완성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TGV신화로 고속전철왕국이 된 프랑스, 금년 6월 ICE개통과 함께 자기부상열차 개발에도 힘을 쏟는 독일, 그리고 이들이 주축이 되어 유럽 전체를 하나로 묶는 유로네트워크 등 세계 첨단을 걷는 유럽 철도기술의 현주소는?유럽은 철도기술이 최초로 시작된 곳일 뿐 아니라 철도의 역할이 커서 철도에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원자력 의존율이 75%에 이르는 프랑스는 원자력에 관한 한 우라늄 채광에서 핵재처리 기술까지 완벽한 사이클을 갖추고 있다. 원전대국 프랑스가 차세대 원자로로 선전하며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는 과연 성공할 것인가?연료를 때면 열이 발생하고 또 땐만큼의 새로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그대로 재현해비행훈련용 모의장치가 순수 국내기술로 제작됐다. 개발자는 한국항공기술
연구원
윤석준박사팀.이 장치를 자동차 운전연습장치쯤으로 생각하면 곤란하다. 모의비행훈련장치의 조종석 계기판은 실제 비행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복잡하기 짝이 없다. 여기에 앉으면 여러가지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중대한 관심 중의 하나는 이렇게 신비스런 은하를 이해하는 것이다." 감마선 관측소
연구원
의 말이다. "그것들이 동일한 물체의 여러가지 모습일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사실은 대단히 놀라운 발전이다. 그것은 하나의 통일이기 때문이다."이 이론의 전개과정은 메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발간되는 ... ...
저공해 디젤엔진 연소장치 개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3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엔진연소실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 됐다.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열유체공학연구실 오세종박사팀은 최근 이 연소장치를 개발, 미국에서 특허를 획득했다. 이 장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 함유량이 2백60ppm 정도로 현재 국내 디젤자동차용 엔진의 배기규제치 8백5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모든 조건을 최종 결정했다. 이 자리에는 KAAS 박석재 회장을 비롯 최한우(동력자원연구소
연구원
) 박승철 이혁기 조상호 씨 등 내로라하는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일본에서는 전국에서 8천명이 참가송호리 준비모임에서는 관측대상을 거문고자리로 교체하고 ... ...
PART3 날로 다양해지는 쌀가공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수행되었지만 보다 전문적인 연구기관이 필요하다고 느껴 91년 1월에는 한국식품개발
연구원
에 쌀 이용연구센터가 설립되었다. 그동안 여기서 쌀고기 즉석미숫가루 쌀요구르트 숭늉분말 누룽지 등 20여품목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중 일부는 현재 시판 중에 있다.우리들의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 ...
안정된 자세로 임무 수행 순조로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소수. 그런 의미에서 이번에 우리별1호의 주역으로 등장한 인공위성 연구센터의 학생
연구원
들은 집단적으로 양성될 1세대 위성연구인력 인 셈. 이미 반은 전문인이 됐다고 할 수 있다.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는 이들을 포함해 20여명을 서리 대학외에도 미국 일본 등에 유학보내고 있다.일부에서 ... ...
이전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