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약간 시간이 걸릴 것이다.내년 대전엑스포에서 소개될 조각하는 로봇이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의 김문상박사팀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는 카메라로 잡힌 영상을 분석하여 수준급의 조각을 20분 내외에 만들어 내는 것이다.더디 가더라도 단단한 길로인공지능상품은 초기의 열기에 비해 다소 주춤한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모든 조건을 최종 결정했다. 이 자리에는 KAAS 박석재 회장을 비롯 최한우(동력자원연구소
연구원
) 박승철 이혁기 조상호 씨 등 내로라하는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일본에서는 전국에서 8천명이 참가송호리 준비모임에서는 관측대상을 거문고자리로 교체하고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배우면서 제작한 것. 우리별2호는 1호를 제작한 경험 있는 학생들과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연구원
, 항공우주연구소의
연구원
, 기타 관련 기업측과 협력해 국내에서 직접 제작할 예정이다. 하늘에서 한국말 방송을국내 최초의 인공위성으로 기록될 우리별1호는 1백분에 한번씩 지구를 돌면서 어떤 일을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12명을 제2군, 20년 이상 수련한 승려 16명을 제3군 그리고 전혀 선 명상의 경험이 없는
연구원
22명을 제4군으로 나눠 뇌파의 모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발견하였다. 20년 이상 선 명상을 하였던 승려들의 경우, 명상을 시작하고 나서 50초 이내에 40~50㎶, 11~12회/초의 ... ...
입자가속기로 발암성검사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알고 있으나 다른 대안이 없어 그 검사법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 두
연구원
들이 이문제를 해결해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로렌스 리버모어국립연구소에 재직 중인 물리학자 존 보겔과 독성학자 켄터틀터브가 입자가속기를 이용하는 참신한 발암성검사법을 개발해낸 것.그들이 ... ...
계면(界面)공학, 왜 각광받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개발해낸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97년까지 5백억원의 연구기금과 1백명의
연구원
을 확보하는 것이 문박사의 꿈이다."외국의 경우 민간인이 기부한 만큼의 기금을 정부가 지원한다든지, 기부금에 대한 세금공제혜택을 주어 비영리연구소를 육성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이러한 지원이 전혀 ... ...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발전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다. 최고정책 당국자가 전방을 시찰하듯 연구계를 둘러보며
연구원
의 애로사항을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작은 관심과 의지표명을 보일 때 출연 연구소 문제는 쉽게 매듭이 풀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쓰레기 속에서 진주 찾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그 폐기물로 새로운 약품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칼의 생각은 적중했다. 회사내의
연구원
들과 머리를 맞대고 연구에 몰두한 결과 마침내 안티피린보다 성능이 뛰어난 해열제를 만들어내게 됐다. 칼은 완성된 약품을 페나세틴이나 아스피린이라는 이름으로 특허를 출원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한다. 또한 물체를 집는 등의 일을 가르쳐주면 배우기도 한다. 최근 나폴리동물
연구원
의
연구원
들은 문어가 보다 큰 뇌를 가진 생물들만이 갖는 능력이라고 믿어왔던 보고 배우는 능력이 있는지 실험을 해 보았다. 그런데 자기무리와 잘 어울리지도 않고 사는 이 비사교적인 문어가 다른 문어들이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 없어 연구자들이 요구하는 다량의 값싼 ${C}_{60}$을 얻기에는 미흡했다.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의 연구팀은 다량의 ${C}_{60}$을 얻기 위하여는 고온하에서 기화할 때 얻어지는 탄소검댕을 짧은 시간에 많이 추출해내야 한다는데 초점을 맞췄다. 그래서 고주파 유도플라스마 발생장치를 이용하기로 했다 ... ...
이전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