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712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
과학동아
l
2021.10.13
여러 겹 쌓인 모습으로 지층에 남았다는 사실도 밝혔다. 켈리 호건 영국 남극조사연구소
연구원
은 “기후가 따뜻해질 때 빙하 아래 지형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함부르크에 있는 기상학연구소 초대 소장을 지낸 하셀만
연구원
이 물리학상을 받았고, 뮐하임에 있는 석탄연구소 소장인 리스트 교수가 화학상을 받은 것이다. 특히 석탄연구소는 1912년 카이저빌헬름석탄연구소로 창립되어 1949년에 막스플랑크연구소로 편입된 유서 ... ...
[과학게시판] KAIST 기술창업 파트너십 프로그램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채용할 계획이다. ■한국기초과학지원
연구원
(KBSI)은 12일 장기수 연구장비개발부 책임
연구원
팀이 나노입자에 빛을 쪼일 때 발생하는 발열특성을 단일 나노입자 수준에서 측정할 수 있는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암과 같은 질병의 조기진단 및 정확한 치료를 위한 기능성 나노입자 개발에 ... ...
블록체인 제주도에서 실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블록체인 기술 연구 개발 분야에 관해 논의하고 있는 모습.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ETRI)과 제주도가 블록체인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산업 분야 활용을 높이기 위해 힘을 합쳤다. 국가연구기관에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지역 사회 데이터로 실증하면서 안전하면서도 유용한 서비스를 ... ...
[화보+]수묵담채화로 본 원자력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1.10.12
원자로(SMR)을, 11월은 고준위폐기물 처분 기술을 개발하는 지하처분연구시설, 12월은
연구원
의 미래비전을 주제로 원자력연 자체를 그림으로 표현했다. ... ...
뇌는 알고 있다…'뺏기보다 지키기가 어렵다'는 것을
동아사이언스
l
2021.10.12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5일자에 게재됐다. 기초과학
연구원
(IBS)과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초소형 무선 뇌 신호 측정 시스템으로 생쥐의 먹이 경쟁 실험을 진행한 결과, 경쟁 시 목표물을 쟁취하는 것보다 지키는 행동을 할 때 뇌 활동이 더 격렬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빼앗는 ... ...
부산 앞 대륙붕서 최대 깊이의 온전한 해저지질 샘플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1.10.12
파악해 시추 비용을 아꼈다. 국내 최장 길이 비교란 시추코어 완료 사진.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제공 지질연은 “이번 해저 심부 시추 연구 결과는 동해의 지구적 운동과 연계된 아주 오래된 퇴적층까지 시추를 시도해 성공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질연은 또 ... ...
[과학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복합과학체험랜드 조성사업 공청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12
공식 유튜브채널을 통해 생중계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부터 15일 국립전파
연구원
우주전파센터가 온라인으로 '제11회 우주전파환경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행사 주제는 ‘우주개발과 인공지능 시대, 우주전파센터가 나아갈 길’로 미국 우주환경예측센터와 영국 기상청 ... ...
코로나19로 우울·불안 장애 20% 이상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코로나19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을 이끈 데미안 산토마우로
연구원
은 영국 언론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임금도 낮고 불안정한 직업을 갖는 경우가 많아 영향이 더 크다”며 “젊은층은 학교나 교육 시설의 폐쇄 등으로 인해 또래 간 만남이 제한되면서 ... ...
"코로나 신규 확진자 확산vs감소 분기점"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2000명 대를 유지하고 연말에 들어서야 1000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권오규
연구원
팀도 대부분 지역의 감염재생산지수가 1 근처 또는 1 이하인 것으로 평가하며, 확산세의 완화가 조심스럽게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은옥 건국대 수학과 교수팀은 현재의 확산 수준인 감염재생산지수 0.88을 ... ...
이전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