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구원"(으)로 총 16,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의 발견과 미래2021.10.08
- 공유했던 모토인 'world changing catalysis(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을 개발하기 위해 필자와 연구원들은 오늘도 함께 달리고 있다. 배한용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 ... ...
- 국방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국방과학기술위원회' 출범동아사이언스 l2021.10.07
- 국방기술진흥연구소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산업기술진흥원장이 참여한다. 민간 전문가로는 임춘성 연세대 산업공학과 교수,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나경환 산업통상자원 연구개발(R&D) 전략기획단장이 ... ...
-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과학자에게 필요한 건 '자유'와 '도전정신'"동아사이언스 l2021.10.07
- 교수는 이런 철학을 자신의 연구실에서도 실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스트 교수는 "소속 연구원들에게 이런 자유를 주려 노력하고 있다"며 "사람들을 노예로 부리는 자처럼 '밤낮없이 더 일해'라고 말하는 대신 '삶에 대해 생각하고 즐기라'고 조언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시간 함께 일했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특허 그리고 악당의 탄생' 2021.10.07
-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 ...
- [과학게시판]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요오드 99% 흡수하는 천연광물 발견 外동아사이언스 l2021.10.07
- 채용 현황, 채용 계획 및 방법, 요구 역량 및 애로사항 등을 파악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6일 처분성능실증연구부 소속인 이승엽·권장순 박사 연구팀이 지하 처분장 환경에서 천연광물 ‘공작석’이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사실과 공작석이 방사성요오드를 99% 흡수해 더 단단한 광물 ... ...
- 한국 제자 많이 두고 민속촌서 막걸리도 마시는 젊은 노벨화학상 수상자들동아사이언스 l2021.10.06
- 교수(맨 오른쪽) 가 제자들과 한국민속촌을 방문한 모습이다.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양정운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가 함께 하고 있다. 성균관대 제공 리스트 교수는 한국에도 방문하고 한국과 공동연구도 자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8년 성균관대 자연과학부 초청으로 방문교수 자격을 ... ...
-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우울증 치료제·코로나 치료제 개발 가능케 한 혁신적 도구 개발" 2021.10.06
- 질환 환자에 쓰이는 항응고제인 '와파린' 개발에도 이 기술이 활용된다. 한수봉 한국화학연구원 의약바이오연구본부 감염병제어기술연구단장은 전화 인터뷰에서 “비대칭 유기 촉매는 의약품 합성에 매우 중요하고 산업적으로 파급력을 불러일으켰다”며 "금속은 금속 폐기물이 남는 반면 유기는 ... ...
- 분자 만드는 독창적 도구 '유기촉매'로 제약 혁신과 친환경을 구현하다(재종합) 동아사이언스 l2021.10.06
- 캘리포니아 스크립스연구소에 있는 카를로스 바바스 박사다. 이 연구실에서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리스트 교수는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을 만한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2021 노벨화학상 수상자 중 한 명인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 독일연구재단 제공 리스트 교수는 ... ...
- 노벨화학상, 의약품 연구와 친환경 화학 혁명 가져온 2명의 화학자 수상(종합) 2021.10.06
-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가 제자들과 한국민속촌을 방문한 모습이다.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양정운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가 함께 하고 있다. (오른쪽) 데이비드 맥밀런 교수가 2016년 대한화학회 유기분과 하계워크샵에서 발표 중인 모습이다. 성균관대·대한화학회 제공 두 사람은 지한파 ... ...
- 지구과학 안주던 노벨상, 기후변화 앞에 깨졌다동아사이언스 l2021.10.06
- 조르조 파리시(73) 이탈리아 사피엔자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이중 마나베 교수와 하셀만 연구원은 노벨상 분야 불모지로 여겨졌던 지구과학 분야에서 벽을 깬 것으로 평가받는다. 지금까지 노벨 과학상 분야에서 지구과학 분야 연구자가 수상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1995년 셔우드 롤랜드 ... ...
이전6306316326336346356366376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