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영재캠프] 다각형의 분할과 조립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정사각형 타일로 평면을 가득 까는 것을 생각하자. 하나의 작은 타일 주위를 네 개의
큰
타일이 둘러싸듯 하며 두 종류의 타일을 번갈아 깔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작은 타일 주위를 둘러싼 네 타일의 중심점들을 차례로 연결하면 정사각형이 되는데, 그 넓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 a2+b2=c2에 의해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데 충분한지 검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울프-사이먼 박사팀이 편차가
큰
데이터를 배제하거나 오차로 여기지 않고 뭉뚱그려 평균을 내 버렸다고 비판했다.울프-사이먼 박사팀이 논문을 쓸 때 인용했던 또 다른 논문의 저자인 제임트 코트너 미국 미네소타대 교수와 에드워드 홀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3일 이상 근무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큰
병원에서도 일주일씩 밤근무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교대근무의 순서를 조절해 몸이 충격을 덜 느끼게 하는 방법도 있다. 기자가 체험했던 교대근무는 ‘밤샘-저녁-오후-오전-밤샘’ 순으로 시간을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그 아래로 이마방패가 있으며 이것은 두 개의 짧은 더듬이를 연결한다. 그 아래 윗입술과
큰
턱이 있고 그 사이에 보통 이가 있어 식물의 잎을 씹어 먹을 수 있다. 어른벌레가 됐을 때는 식물의 잎을 먹는 것이 아니라 꿀을 빨거나 핥아먹어야 하므로 입의 형태도 다를 수밖에 없다.애벌레의 ... ...
익스트림 에너지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온도가 수 만℃에 이른다. 이처럼 익스트림 에너지공학에서는 소량의 에너지원으로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현상을 연구한다. 그리고 유용한 방향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한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높은 에너지의 레이저를 대상 물체의 표면에 쏘면, 표면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짧은 순간 빛을 ... ...
Part 1. 꿀벌 여왕의 독백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독백을 들으니 저까지 슬픈 기분이 드네요. 우리 서양 꿀벌도 지난 몇 년 동안 대단히
큰
재난을 겪었답니다. 우리가겪은 현상은 좀 특이해요. 벌이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는 현상이지요.‘봉군붕괴증상(CCD)’이라고 부르는데, 벌이 죽는 게 아니고 텅 빈 벌집만 남겨놓고 감쪽같이 사라져 버리는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결과 베렌바임 교수 연구팀은 농약에 반응하는 유전자와 면역을 담당하는 유전자는 CCD와
큰
연관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대신 CCD에 걸린 벌의장 내 유전자 속에 파괴된 리보좀 RNA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단백질 생산에 문제가 생겨 면역력이 약해질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 유전자는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1995년 처음으로 피자를 인터넷으로 주문하는 서비스가 나왔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시
큰
둥했다. 전화 하나면 될 걸 피자 하나 시키는 데 인터넷까지 필요 있냐는 것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피자는 물론 각종 물품을 구매하는 데 인터넷을 쓴다. 즉 과거에는 해커가 범죄를 저지를 대상 자체가 적었다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아니다”라고 덧붙였다.그는 캐럴 기지 땅속에서 고엽제가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그리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고엽제는 물에 잘 안 녹고 토양에 흡착되기 때문에 고엽제에 오염된 토양을 잘 걷어내 처리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는 “주민들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정부와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지만 발사 및 운용기술 연구를 시작해 처음으로 만든 연구용 로켓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 로켓은 성층권 높이까지 솟아 올라가 온도측정 등을 할 수 있다.KSR-I 개발이 성공으로 끝나자 항우연은 즉시 2번째 로켓 개발에 들어간다. KSR-II라고 이름 붙인 이 로켓은 한국최초의 2단형 ... ...
이전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