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 로봇의 루빅스큐브 승자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작은 정육면체 여러 개를
큰
정육면체 하나로 만든 퍼즐이다. 작은 정육면체를 돌려
큰
정육면체의 각 면을 같은 색깔로 맞추면 된다. 흔히 ‘큐브퍼즐’이라 부른다.최근 호주의 스윈번공대 학생들이 루빅스큐브를 맞추는 로봇 ‘루비(사진)’를 만들었다. 루비는 10.69초 만에 루빅스 큐브를 맞춘다. ... ...
수학 성적, 아무리 노력해도 안 오른다면?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가볍게 여기고 있어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며 “난산증도 난독증만큼 일상생활에서
큰
어려움이 생길 만큼 심각한 장애”라고 말했다.난산증도 난독증과 같이 선천적으로 타고난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아무리 유전적인 요인이 커도 특별 교육을 받으면 교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치르느냐에 따라 물의 저항을 달리 받는다. 따라서 자리 배치는 선수들의 기록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잔잔한 물살을 가르고 헤엄쳐 앞으로 나갈 때, 수영장의 중앙에서 수영을 하는 사람일수록 물의 저항을 덜 받는다. 이것은 배가 앞으로 나아갈 때 물살이 배를 중심으로 해 좌우 바깥쪽으로 퍼지는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유클리드 공간에도 적용돼, 3차원에서 같은 넓이를 가진 닫힌 곡면 중 가장 부피가
큰
것이 구면이라는 사실도 증명했다. 브룬과 민코프스키는 n차원까지 등주문제를 확장시켰다.비눗방울이 모여 이룬 거품이 만드는 수학적인 성질은 19세기 물리학자 플라토에 의해서 처음 밝혀졌다. 그는 물과 비누,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들이가 눈으로 비교되는 것과는 달리 무게는 눈으로 봐서는 알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큰
컵에 담긴 우유는 많고 작은 컵에 담긴 우유는 적습니다. 이것은 보기만 해도 알 수 있지요. 그렇지만 똑같은 크기의 공 2개가 있을 때, 부피는 같더라도 무게는 다를 수 있습니다.무게는 지구가 물체를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동창회 모임이 끈끈해진 데는 청주라는 지역적 특성이 작용했다. 청주는 서울처럼
큰
도시가 아니어서 공동체 의식이 강해 한번 인연을 맺은 영재들은 하나로 잘 뭉친다. 청주교대가 깔아놓은 ‘멍석’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청주교대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을 시작하기 1년 전인 1997년부터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꾼다. 이미 지름 1m의 발전기용 토네이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그렇다면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토네이도는 어디에 있을까.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메르세데스 벤츠 박물관에 있는 인공토네이도는 높이 34.43m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든든한’ 토네이도이기도 하다. 둥근 벽을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막아 놓는 회사가 많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찾기로 한다. 해커는 트래픽이 많고 대역폭이
큰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회사를 하나 고른다. 이 회사 사이트의 제어권을 획득한 해커는 인라인프레임 하나를 심는다. 인라인프레임은 문서 안에 또 다른 문서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몇 개의 조건만 설정하면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실제 해발고도와 거의 비슷한 1700m로 표현된다.산 높이 하나가 낮게 표시되는 게 무슨
큰
문제일까 싶지만 집중호우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이는 중대한 사고다. 바람을 맞는 면과 등지는 면에서 집중호우는 각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산의 경사가 급할 때 대부분의 강수 현상은 바람을 맞는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팽창할수록 느리게 회전한다는 뜻으로, 상식과도 잘 맞는다. 작은 팽이를 돌릴 때보다
큰
팽이를 돌릴 때 회전 속도가 느린 것과 같은 원리다.끈 이론을 이용하면 팽창뿐만 아니라 비틀림 현상도 연구할 수 있다. 실제 우주에서 볼 수 있지만 입자에는 없는 움직임이다. 특히 비틀림에 대한 연구 결과 ... ...
이전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