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Armadillos and Human Leprosy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아르마딜로가 애완동물로서만이 아니라, 식용으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이러한 아르마딜로가 인간 나병(한센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들이 연구한 내용을 살펴보자.Here’s a thing to be frightened of, and it’s something you might not expect: armadillos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안식처’라는 개념에서 출발했다. 어떻게 하면 육신을 최대한 오랫동안 잘 보관하느냐에
큰
의미를 둔다. 이와 달리 현대의 인공미라는 일정기간 인간의 시체를 생전과 똑같이 보관하는데 목적을 둔다.요즘 인공미라를 만드는 방법은 이렇다. 우선 시체를 수조에 넣어 발삼향이 나는 방부액을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그런데 신경이 예민한 학생은 확실하지 않다는 의미인 물음표가 제시됐을 때 뇌파가 더
큰
반응을 보였다. 신경이 중간 정도로 예민한 학생은 ‘-‘ 표시나 물음표나 반응이 비슷했다.이 같은 결과가 사실이라면 보통 사람들은 승진에서 누락됐을 때 더 스트레스를 받지만 신경이 예민한 사람은 이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010년 2월 25일자 ‘네이처’에는 유도만능줄기세포 발표만큼은 아니지만 역시
큰
주목을 받은 연구결과가 실렸다. 피부세포인 섬유아세포를 줄기세포를 거치지 않고 신경세포로 직접 바꾸는데 성공했다는 것. 완전히 분화된 세포가 역분화를 거쳐 미분화된 뒤 다시 원하는 타입으로 분화하는 게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파고들어야 하는데 인터넷만 뒤져 답만 찾는다는 것이다.“과학을 하겠다는 친구라면
큰
문제에 도전해 보세요. 성과는 금방 나오지 않겠지만 인생을 반복하며 사는 건 재미 없잖아요. 청소년들은 공부 말고도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꼭 시간을 내보세요. 그게 꼭 과학이 아니더라도. 나도 열심히 ... ...
한 권에 담은 기후변화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후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는 불가능한 걸까.이런 상황에
큰
도움이 될 만한 환경 책이 나왔다. 우리나라 학자들이 직접 한반도의 기후변화 양상과 그 영향을 기록하고 연구한 책이다. 환경과 생물 전반을 두루 다루고 있다는 뜻에서 ‘기후변화 교과서’라는 제목을 붙였다. ... ...
놀라워서 깡충! 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합치면 무려 34㎝까지 자란다고! 요즘 날 애완동물로 많이 키운다고 하던데, 난 내 몸보다
큰
쥐나 새도 잡아먹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할걸? 이제 곧 겨울 내내 잠자고 있던 거미 친구들이 깨어날거야. 우리나라에 사는 거미들은 알이나, 어린 상태로 겨울잠을 자고 봄에 일어나서 허물을 벗으며 계속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관리할 수 있다는)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이런 배경에는 암의 전개 과정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핵심적인 생체분자들의 면면을 파악했기 때문이다. 특히 암억제인자로 유명한 p53 단백질의 발견은 지난 40년의 암 연구 업적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성과다.p53이 처음 발견된 건 1979년. 그러나 이 ... ...
슬픔이 아픔이 되는 비극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치유되도록 해야 한다. 죄책감은 슬픔을 아픔으로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다.] 힘들 때 힘들다고 말해야우리는 흔히 “어떤 문제도 겪을 만큼 충분히 겪으면 저절로 나아진다”고 말한다. 또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치유될 거라는 말도 자주 한다. 어느 정도 일리가 있긴 ... ...
에너지 변환 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큰
관심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사회적 관심의 중심에 서있는 에너지 변환 공학에 대해 알아보자.1 에너지 변환 공학이란 무엇인가요? 열 에너지, 화학 에너지, 빛 에너지와 같은 천연자원 상태에서 ... ...
이전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