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하지만 이런 이름을 담은 인류의 ‘족보’를 전면적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인류진화생물학과 크리스토프 졸리코퍼 교수는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 위치한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 지방에서 2000년과 2005년 각각 발굴한 180만 년 전의 인류 두개골과 턱뼈 화석의 생김새를 ... ...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세계 최초 시험 비행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무인항공기 ‘KUS-TR’이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수직이착륙 유인항공기는 이미
미국
에서 실전 배치됐지만 무인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다.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10월 17일 전남 고흥군 항우연 비행장에서 휴대용 무선 조종장치로 ‘KUS-TR’을 조종해 약 30분 동안 안정적으로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개 정도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007년에 중국에서 자국위성을 미사일로 요격하고, 2009년에
미국
이리듐 위성과 러시아 코스모스 위성이 충돌한 뒤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결국우주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주쓰레기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지요.첫 번째 시도가 바로 내년에 있을 예정입니다. ... ...
5기통 엔진의 마지막 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더 적은 것이다.하지만 헨리 포드가 만든 5기통 엔진은 양산되지는 못했는데, 당시
미국
에는 작은 차를 타려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1974년이 돼서야 메르세데스 벤츠사가 5기통 디젤 엔진인 ‘OM617’을 양산용 자동차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그 뒤 볼보, 아우디, 폭스바겐이 5기통 엔진을 사용하기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쥐트호프 교수는 독일에서 태어나 1982년 괴팅겐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미국
텍사스대 남서부의학센터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한 쥐트호프는 혈관에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를 발견하게 된다. 이 성과를 포함해 콜레스테롤 대사조절에 대한 연구로 그의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우수하면 상을 준다. 1972년 비행기 납치범을 퇴치하는 전자기계 시스템을 발명한 공로로
미국
의 발명가 고(故) 구스타노 피조가 안전공학상을 받았다. 비행기 납치범을 특수장치로 보쌈한 다음 비행기 밖으로 내동댕이치면 경찰이 전파신호를 받고 기다리다가 무사히 범인을 받아서 안전하게 ... ...
머리카락,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교수는 모유두세포의 본래 능력을 회복시켜 모낭 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를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ʼ 10월 21일자에 발표했다.모유두 세포는 피부 세포의 일종으로 이 세포들이 뭉쳐있을 때 모낭 세포를 만든다. 그러나 모유두 세포가 무리를 이루지 않고 따로 떨어지면 일반 피부세포로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도움될까그렇다면 사람은 왜 오럴섹스를 하는 걸까. 올해 학술지 ‘진화심리학’에 실린
미국
오클랜드대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오럴섹스는 남성이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전략일 수도 있다. 여성이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명의 남성과 관계를 맺으면 정자 경쟁이 벌어진다. 이때 경쟁에게 이기기 ... ...
당신이 악당에게 연민을 느끼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뇌는 영화나 소설 속에 등장하는 악당에게 더 공감한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글렌 폭스 박사팀은 공감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좋아하는 사람보다 싫어하는 사람이 고통 받을 때 더 활성화된다는 연구 결과를 ‘최신심리학’ 10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유대인 남자로 ... ...
박쥐의 ‘나뭇잎 보청기’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꽂고 사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박쥐가 보청기안에 들어가 산다. 집 자체가 보청기니까.
미국
노스다코타주립대 생명과학과 에린 길람 교수팀은 남아메리카에 사는 소형 식충 박쥐인 ‘스픽스원반날개박쥐’의 집의 음향 구조를 연구했다. 이 박쥐는 생강목에 속하는 잎이 넓은 식물인 헬리코니아의 ... ...
이전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