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한반도에 전기가 들어온 지 올해로 딱 130년이 됐습니다. 400년 전 길버트가 처음으로 마찰전기를 발견한 이후로, 수많은 학자들이 발명하고 연구한 결과 한반도에도 전기가 들어오게 됐지요. 한반도에 전기가 들어온 뒤 전등이 빛을 발했고, 전차가 다니기 시작했으며 하늘에 전선도 여기저기 걸리 ... ...
- 수학자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최근 인기리에 방영 중인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에서도 이 문제가 등장했다. 촌각을 다투는 응급실에서 의사가 자신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 인턴을 길들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의사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이 뭔지 알아? 인턴한테 시키는 거야.” 인턴이라면 코끼리를 냉장고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공기 좋고 네온사인 없는 한적한 곳으로 여행을 가면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있다. 밤하늘의 별이다. 도시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별이 쏟아져 내릴 듯이 많다. 아마추어 사진가, 전문 사진가 모두 너나 할 거 없이 그 장관을 찍기 위해 천문대에서 밤을 지새우는 이유다. 그런데 카메라가 없다면 이 아름 ... ...
- [QUIZ KING & KAIST] 겨울방학 수학 교류전 개최!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수문연과 함께하는 수리 논술상호는 겨울방학 동안 꾸준히 운동하기로 결심했다. 매일 줄넘기, 조깅, 어은동산 산책을 하기로 계획한 것이다. 어은동산은 KAIST 중앙에 있는 언덕인데, 모양을 단순하게 만들면 원뿔이다. 원뿔에서 A에서 A로 가는 최단거리는 전개도를 펼쳤을 때 A와 A'를 이은 선분의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잠자는 숲속의 공주, 확률을 맞혀봐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평화로운 토요일 오후, 숲속에 있는 성에 놀러간 공주는 성에 살던 마녀의 물레 바늘에 손가락을 찔린다. 물레 바늘에는 마녀가 미리 독을 묻혀 놓았고, 공주는 깊은 잠에 빠져들어 다른 사람이 깨우기 전에 결코 일어나지 않게 됐다. 또한 공주는 하루 전에 일어난 일은 모두 잊어버린다. 하지만 다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자성 물질의 성질을 조절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울 방법을 고안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했다.기존 반도체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롯데마트와 하나로마트 등 대형마트에서 달걀 가격을 10% 이상 올린 데 이어 1인당 한 판만 구매하도록 제한하면서 ‘달걀 품귀현상’이 일어났다. 지난해 11월 16일 전남, 충북 지역에서 처음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Virus, 이하 AI) 탓이다. AI가 무서운 기세로 전국에 확산되자 방역 당국은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한국인의 성씨는 혈통과 지리적인 출신을 나타낸다. 30년 동안 변해 온 지역별 성씨 분포 빅데이터를 통계물리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개인이 현재 특정 장소에 살고 있는 것은 그 의지뿐만 아니라 정치와 경제, 그리고 문화적 맥락이 더해진 결과라는 것이다.필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모니터에 파란색 우주선 보이죠? 그 우주선이 날 수 있도록 집중해주세요.” 2016년 9월 6일 배진우 마인드앤헬스의원 원장은 기자의 정수리에 전극을 붙인 뒤, 다짜고짜 우주선 게임을 시켰다. 전극은 특수한 기계 장치를 통해 모니터와 연결돼 있었다. 하지만 흔한 조이스틱도 없이 과연 생각만으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아인슈타인은 1917년 자신의 중력 이론을 토대로 정지 우주모형을 만들 때, 물질 분포가 거시 규모에서 균일하고 등방하다고 가정했다. ‘아인슈타인의 우주원리’다. 물질이 우주 어디에서나 고르게 분포한다는 의미다(공간적 균일성).표준우주모형은 이 우주원리에 따라 공간의 곡률이나 물질 ... ...
이전6316326336346356366376386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