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938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는 한 행사에서 자신의 제자인 에토레 마요라나를 이렇게 평했다. “과학자들은 몇 가지 부류로 나뉩니다. 이류, 삼류 과학자들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 하지만 높은 수준에 도달하진 못하죠. 일류 과학자들은 중요한 발견을 해내는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일 ...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송준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자료를 찾던 중 그의 이력에 눈이 갔다. 송 교수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8년 6개월 정도를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교수로 지냈다. 일리노이대는 도시환경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학교다. 그 좋은 자리를 마다하고 그가 서울대에 부임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권태준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의 연구실은 마치 수산시장을 방불케 했다. 거대한 수조에 여러 마리의 개구리들이 나눠져 들어가 있었다. 물위에 둥둥 떠있는 개구리들은 마치 죽은 것 마냥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 “혹시… 죽은 건 아니겠죠?” 조심스레 묻자 권 교수는 “이래 보여도 실험실을 나 ... ...
- [과학뉴스] 난방텐트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면서 난방용품, 특히 올해는 난방텐트가 인기입니다. 난방텐트는 한 마디로 실내용 텐트인데요. 외부의 찬 공기를 막고 내부의 온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잡아 사람의 체온만으로 5℃ 이상의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공기를 막는 것만으로 과연 가능한 일일까요.우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구와 표준시계의 차이, 윤초를 만들다!윤초는 하루 24시간에 1초를 더하는 걸 말해요. 1초를 더하는 이유는 전세계가 기준으로 삼고 있는 시간과 지구가 한 바퀴 도는 시간, 즉 자전주기 사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랍니다.사실 지구의 자전주기는 일정하지 않아요. 바다나 지구 속 마그마 등의 영향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자전축을 이루는 한자는 ‘스스로 자(自)’, ‘구를 전(轉)’, ‘굴대 축(軸)’이에요. ‘천체가 스스로 회전할 때 기준이 되는 고정된 중심축’이라는 뜻을 갖고 있지요. 우리가 사는 지구는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계절이 생긴답니다.‘스스로 자(自)’는 코의 앞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문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KAIST #수리과학과 #졸업 #청년 #돼지고기……?위 5개의 해시태그 중 생뚱맞은 게 하나 있다. 돼지고기다. 앞의 4개는 연관이 있어 보이지만 돼지고기는 어울리지 않는다. KAIST 수리과학과를 졸업한 청년이 돼지고기와 무슨 관련이 있다는 걸까?KAIST 수리과학과 졸업생과 돼지고기의 연관성을 찾기 위 ...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게임카페를 새 단장했어요. 1년에 2번만 게임을 만드는 게 아쉬워 2달에 1번꼴로 새로운 게임을 만들어 보려고요. 첫 번째 게임은 장애물과 적이 쏘는 레이저를 요리조리 피하면서 적을 무찌르는 탑다운 슈터예요. 따뜻한 코코아 한 잔을 옆에 두고 어떤 원리로 게임이 만들어지는지 차근차근 살펴보 ... ...
- [과학뉴스] ‘사이언스 로보틱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가 로봇공학 분야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자매지, ‘사이언스 로보틱스’를 2016년 12월 6일 창간했다.사이언스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발행하는 학술지로, 의학 및 기초과학 분야에 네 개의 자매지가 있었다. AAAS가 로봇공학 분야 학술지를 창간한 것은 과학기술 분야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0과 1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숫자다.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담은 숫자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1로, 차단된 것을 0으로 환산한 2진법 시스템으로 정보를 처리한다.이처럼 ‘On’과 ‘Off’를 1과 0에 대응시키는 방식은 굉장히 명쾌하지만 최선이라고 말할 ... ...
이전6356366376386396406416426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