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09
300개 이상의 부속품으로 이뤄진 정밀기기로, 현대에도 전통방식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사람
이 많지 않다. 흥미롭게도 화차는 손잡이를 바닥에 놓으면 각도가 43~45°가 된다. 이는 이론적으로 최장거리 발사각도에 가깝다.대신기전, 국방과학연구소 이어 항우연 복원 중 대신기전은 강 건너까지 ... ...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 있는 수학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9
타일링이 가능하지만 추상적 사고에 능숙한 수학자가 아닌, 3차원 공간에 살고 있는 보통
사람
들은 이해하기 어렵다.아무튼 다면체를 채워 넣어 빈 공간이 생기지 않게 배치하면 3차원 타일링이 완성된다. 이를 벌집(honeycomb)이라고 부른다. 6각기둥 형태인 진짜 벌집과는 다른 맥락으로 쓰인 기하학 ... ...
그 많은 들쥐는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0809
배달하는 ‘가면올빼미’(Barn Owl)다. 한때 영국에서는 가면올빼미를 애완동물로 키우는
사람
이 늘기도 했다. 올빼미는 생물학적으로 올빼미과에 속하는 새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부엉이와 소쩍새 모두 올빼미과다. 다만 국내에서는 흔히 귀 꼴을 하는 깃털 묶음인 귀깃(羽角, 우각)이 있으면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09
7월 15일 국가핵융합연구소 제어실에 모인 수많은
사람
들이 대형 모니터를 뚫어져라 보고 있었다. 모니터 한쪽 끝 전광판에 카운트다운을 표시한 숫자가 ‘0’이 되자 깜깜한 화면에 ‘파밧’ 불꽃이 튀었다.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라 고속카메라로 찍은 화면을 천천히 다시 봐야 했다. 양쪽 끝에서 ... ...
[수학]확률을 이용한 미래 예측
과학동아
l
200809
판단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라.전문가 클리닉이 문제는 고객이 앉는 자리에 따라 그
사람
의 현재 상황에 대한 경우의 수가 하나로 확정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대한 문제입니다. 어떤 사건에서건 우리가 결과를 확신하거나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은 그 사건의 결과가 하나의 경우로 나타남을 ... ...
‘병원에서 병 걸린다’는 말 진짜네
과학동아
l
200809
내성균의 ‘천국’이나 다름없어 장티푸스나 콜레라 같은 법정전염병에 내성이 생긴
사람
들이 대거 등장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이 교수는 “국내에는 항생제 내성균 전문가가 10명 안팎으로 내성균에 관한 기초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면서 “항생제 내성 문제를 얕잡아봐서는 ... ...
[첨단기술]로봇에 부드러운 피부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809
이 소재를 이용해 로봇 피부를 만들 계획이다. 압력과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내장하면
사람
처럼 감각을 느낄 수 있다. 호주 울롱공대 고든 월러스 교수는 “성능은 그대로이면서 늘리거나 구부릴 수 있어, 앞으로 입는 전자제품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 ...
[생태]곤충이 물속에서 숨 쉬는 법
과학동아
l
200809
30m 아래까지 잠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며 “앞으로 연구를 더 진행시켜 이를
사람
한테 적용하면 산소탱크 없이도 잠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유전학]쌍둥이는 몸에서 나는 냄새도 똑같다?
과학동아
l
200809
쌍둥이들은 땀에서 생긴 카르복실산 계열 물질의 종류와 양이 이들과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
들보다 10배 이상 비슷했다.영국 리버풀대 생물학자인 크랙 로버츠 교수는 “체취에 유전적 요인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라며 “체취로 병을 진단하거나 신원을 확인하는 새로운 방법을 ... ...
확률과 통계의 함정
과학동아
l
200809
담배를 피우게 한 뒤 암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대신, 거꾸로 암이 발생한
사람
들의 흡연 여부를 조사하면 된다는 뜻이다.이렇듯 오즈비는 실험을 하지 않고도 특정 요인의 위험도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의학 연구에 널리 쓰인다. 하지만 오즈비를 상대위험도로 오해하면 그릇된 결론이 나올 ... ...
이전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