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지구온난화, '북극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다
과학동아
l
200808
쿡은 자신이 1908년 먼저 북극점에 도달했다며 탐험기록을 증거로 내세웠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탐험기록이 온전치 않아 누가 먼저 북극점을 정복했는지는 아직까지 논쟁 중이다.그로부터 100년이 지난 2008년 현재. 지구온난화로 급격한 기후 변화를 겪고 있는 북극을 정복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 ...
다이어트 콜라와 멘토스 사탕이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808
다이어트 콜라에 멘토스 사탕을 넣기 쉽도록 특별한 관을 제작했다. 이 관이 없는
사람
은 종이를 활용해보자. 종이를 말아 콜라 병에 꽂고 그 안으로 멘토스 사탕을 넣으면 된다.핵화의 비밀물은 0℃에서 얼지 않는다?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순수한 물은 0℃에서 자동으로 얼지는 않는다. 순수한 물을 ... ...
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과학동아
l
200808
붉은털원숭이의 혈액을 토끼에게 주사하여 얻은 항혈청이 붉은털원숭이뿐만 아니라
사람
의 적혈구와도 응집을 일으키는 것을 관찰했고 응집이 일어나는 것을 Rh양성(Rh+), 응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Rh음성(Rh-)이라고 했다 바이러스 RNA의 복제(複製)에 관여하는 효소 RNA바이러스는 유전자 본체로서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08
우주정거장 전원에 연결한 뒤 제자리에 두는 일로 마무리 했다. 이 실험은 우주에서
사람
의 연골세포와 조혈모세포, 그리고 벼세포, 김치유산균, 해양미세조류를 소형세포배양기에서 키우는 실험이다.세포배양기가 정상 작동한다는 표시를 확인하고 매뉴얼에 따라 각각 세포배양기에 배양액을 ... ...
송도의 공부벌레들
과학동아
l
200808
그러려면 임상뿐 아니라 기초 연구도 소홀히 할 수 없다.조기유학에 대한 환상을 가진
사람
들에게 쓴소리도 덧붙였다. 중학교를 마치고 유학길에 오른 그는 “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터득하지 못하면 외국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며 “고등학교까지는 한국의 교육 과정이 외국보다 빨라 잘 ... ...
독성 없는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08
렁스3 유전자가 제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반면 암에 걸리지 않은
사람
들의 렁스3 유전자는 모두 정상이었다.배 교수는 “렁스3 유전자가 고장 난 세포는 ‘브레이크가 고장 난 차’와 같다”고 설명했다. 렁스3 유전자가 고장 난 세포는 끊임없이 분열하다가 암세포로 변하기 때문. ...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
과학동아
l
200808
하게 이해하는
사람
은 몇 없을지 몰라도 ‘상대성 이론’이라는 이름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
은 거의 없을 것이다. 시간의 개념을 바꾼 상대성 이론은 비단 물리학뿐 아니라 언뜻 거리가 멀어 보이는 철학에까지 영향을 미친 엄청난 파급력을 가진 개념이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상대성 이론은 ... ...
인류에 대한 공헌자와 전범이라는 두 가지 얼굴
과학동아
l
200808
그는 유태인이면서 독일 국민이었고, 애국자였다. 그는 최초로 독가스 제조에 성공한
사람
이었으며 그가 만든 암모니아 합성 이론은 독일군의 화약 제조에 활용되었다. 그 자신조차 헌신적인 독일인임을 자랑스러워했다. 때문에 노벨재단은 영국과 미국의 과학자들로부터 항의를 받게 되었고 ... ...
백마 만드는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0808
아니다. 시커먼 털이 점차 회색으로 바뀌다가 6~8년 뒤 완전히 하얗게 세는 것이다.
사람
머리가 세는 것과 마찬가지. 10마리에 1마리꼴이라는 백마는 왜 이처럼 털색깔이 변하는 걸까.스웨덴 웁살라대 라이프 앤더슨 교수팀은 ‘그레이’라는 유전자의 조절 부위에 DNA조각이 끼어 들어가 이런 ... ...
잠 못 자면 '가짜 기억' 생겨
과학동아
l
200808
떠올렸기 때문이다.더 나아가 연구팀은 카페인의 효과도 알아보기 위해 밤을 새운
사람
들을 다음날 아침에 둘로 나눠 한 그룹에 카페인을 주고 다른 그룹에는 가짜를 줬다. 한 시간 뒤 단어 테스트를 한 결과 카페인을 먹은 그룹이 먹지 않은 그룹보다 ‘가짜 기억’을 10%나 덜 떠올렸다. 연구팀은 ... ...
이전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