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과학자, 자연계 메탄 분해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0410
주범인 메탄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을 재미교포 과학자가 처음 밝혔다.
미국
캔자스대 김형준 박사(34)는 “메릴로시누스 트리코스포리움이라는 미생물이 특수한 물질을 분비해 메탄을 분해하는 과정을 밝혔다”고 ‘사이언스’ 에 발표했다.메탄은 논밭이나 가축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10
일본 주변에 1백년 동안 쓸 수 있는 천연가스가 하이드레이트 형태로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과 일본은 2010년경부터 이 물질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계획이다.지질자원연 류병재 박사는 “2000년부터 울릉 분지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탐사해 유망한 지역을 조사했다”며 “내년부터 정밀 탐사와 ... ...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410
것 같다.운동이 유행이 될 수는 없을지언정 운동의 종목은 다분히 유행일 수 있다.
미국
의 사례와 비교해보더라도 우리는 지금 다양한 운동 유행 속에 놓여있다. 유행을 타는 것은 자유지만 유행이 어떤 장단점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고 있는 것이 좋지 않을까.다이어트와 엘리베이터그렇다면 운동은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10
1에 불과한 우리나라(세계 1백9위)가 이 정도 수준인데 다른 나라는 얼마나 대단할까?
미국
의 경우 2002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연방정부 산하에 있는 에너지국이 관리하는 전선만 약 13만km라고 한다. 그런데 이것은 단순히 발전소부터 주와 도시를 잇는 전선에 불과하다. 여기에 전국적으로 흩어져 있는 ... ...
눈과 망원경으로 즐기는 가을밤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200410
긴 변이 1백50′, 짧은 변이 40′가량으로 대략 달 5개에 해당할만큼 대단히 크다. 이름은
미국
의 캘리포니아주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성간가스의 양이 태양의 2백40배나 된다.이 성운은 바로 남쪽에 위치한 4등성 별인 크시별에 의해 빛나고 있다. 성운은 별빛을 받아서 빛을 낸다. 그래서 ... ...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박사팀은 7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지름 1백만분의 1m 크기의 레이저를 개발했다”고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 9월 3일자에 발표했다. 특히 이 레이저는 도청을 막을 수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이 교수는 “이 레이저를 바탕으로 전류를 아주 약하게 흘려 빛 알갱이인 광자가 하나씩 나오는 ... ...
북한, 토끼 복제
과학동아
l
200410
미국
의 과학저널 ‘사이언스’ 의 기자가 북한을 1주일간 방문하고 쓴 기사가 이 저널 9월 17일자에 실렸다.북한 과학의 현주소를 소개한 이 기사에서 리차드 스톤 기자는 북한이 복제했다고 주장하는 토끼도 봤다며 그 사진을 실었다. 북한 실험생물학연구소가 지난 2002년 성공했다는 복제토끼가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10
상용화한다.
미국
이 최근 우주태양광에 적극적으로 돌아선 것은 일본의 영향 때문이다.
미국
이 우주태양광 연구에 진전이 이뤄지지 않던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에 일본에서는 교토대 마쓰모토 히로시 교수를 중심으로 핵심적인 기술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뤄졌다. 우주태양광발전의 핵심기술인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10
중심 도시의 허브를 연결하는 대형 여객기인 A380이 충분히 시장성이 있다. 반면 유럽이나
미국
등 아시아보다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낮고 단체 여행보다는 개별 여행 성향이 강한 지역에서는 지역을 연결하는 B7E7이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다.사실 보잉의 경우 이미 B747을 성공시켰기 때문에 대형 ... ...
폭탄 찾는 나방 뜬다
과학동아
l
200409
총이나 폭탄을 찾기 위해서다. 5년 뒤에는 날아다니는 나방이 폭탄을 찾지 않을까.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곤충학자인 켈빈 달리 박사는 최근 박각시나방을 훈련시켜 플라스틱 폭탄 냄새를 찾게 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나방은 이성이 상대방을 유혹할 때 분비하는 페르몬 냄새를 2백m나 떨어진 ... ...
이전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