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05
- LTE-A로 변화하며 주파수대역은 4개로 늘어났고, 속도는 4배 이상 빨라짐.• 전송속도는 100M*bps~1Gbps.• 800MB의 동영상 다운로드에 1분이 채 걸리지 않음.5G• 2020년 서비스 예정.• 28GHz의 초고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4G LTE에 비해 데이터 용량은 약 1000배 많고 속도는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05
- 컴퓨터가 1900년과 2000년을 구분할수 없게 된 것이다. 2000년을 1900년으로 착각한 컴퓨터가 100년치 전기요금을 청구하고, 모든 남자들이 다시 군대에 가야할지 모른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혼란을 막기 위해 세 가지 해결책이 나왔다. 첫째는 기존의 모든 두 자리 연도 데이터를 네 자리로 바꾸는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05
- 한 종류의 긴 신호음이 아니었다. 이상하다 싶어 저항기를 쥔 손을 다시 들여다보니, 100만 옴짜리 저항기를 들고 있는 게 아닌가! 실수였지만, 운명이었다.저항기를 잘못 쥔 덕분에 ‘삐-삐-삐-삐-’와 같은 짧은 신호음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결과를 얻었다. 그는 다시 회로를 뚫어지게 쳐다봤다.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05
- 섭취해야 한다.➍ 칼슘(20$a$+80$b$)은 800mg 이상 섭취해야 한다.목표: 가장 적은 재료($k$=100$a$+200$b$)로 이 조건을 모두 만족하도록 캡슐을 만들어라!조건들은 모두 일차부등식으로 쓸 수 있다.➊ $a, b$≥1➋ 50$a$+10$b$≥400➌ 10$a$+20$b$≥80➍ 20$a$+80$b$≥800목표: 이 범위를 ...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05
- 들어 실제 통계 자료는 수십만 명에서 수천만 명까지 다룬 자료가 많은데, 교과서에는 100명 이내로 규모를 줄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계산기를 쓸 수 있다면 수업을 위해 줄인 자료가 아닌 실제 자료로 계산해 볼 수 있다는 이야기죠. 그렇다면 모든 수학 문제에 계산기가 도움이 될까요?역시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05
- 왕자가 살아 있을 당시 가지고 있던 재물, 즉 산양 1000마리와 소 1000마리, 너비가 100 큐빗★인 직물 1000개 등이 적혀 있었다. 수학 유물 전시 보며 수학 체험고대 유물을 자세히 관찰하고 또 직접 점토판을 만들면서 수학의 탄생과 역사를 배운 독자기자들은 무엇을 느꼈을까. 해가 뉘엿뉘엿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05
- 속도는 초속 7m로 뇌는 매번 1200G(1G는 중력가속도)의 충격을 받는다. 사람은 보통 80~100G의 충격만 받아도 뇌진탕을 일으킬 수 있다.과학자들은 딱따구리가 충격의 99% 이상을 몸, 특히 머리로 흡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미국 UC버클리의 윤상희, 박성민 박사팀은 비디오와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해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05
- 줄인다. MIPS를 적용한 헬멧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170G가 넘는 직선 가속과, 초당 1만4100라디안(1초에 약 2245 바퀴 회전하는 속도)의 회전 가속을 견뎌낼 수 있었다. MIPS는 현재 사이클, 스키 등에 활용 중이다.미국 버지니아 커먼웰스대 신경생물학과 레이먼드 코렐로 교수는 자석을 이용하는 ... ...
- [Fun] 상대성이론에서 전율을 느껴본 적 있나요?과학동아 l201505
- 이해하고 싶은 욕구가 있으니까. 이 책을 번역한 김재영 박사(과학동아 ‘상대성이론 100년사’필자)도 “인류 문명이 찾아낸 아주 세련된 지식인 과학을 향유해보라”고 권한다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05
- 구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다. 물은 어떤 경우에는 0℃ 아래에서도 얼지 않는다. 100℃가 넘어도 한참 끓지 않을 때도 있다. 심지어 냉동실에서 얼지 않은 물병이, 뚜껑을 여는 순간 꽁꽁 얼어버리기도 한다. 우리가 사는 1기압에서 물이 고체에서 액체로, 혹은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현상이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