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05
조건 변화에 따라서 한참 뒤의 패턴이 크게 바뀐다. 예를 들어 시작 지점에서 일어난
100
만 분의 일 정도의 작은 차이에 따라서 행성이 아예 계를 벗어나기도 하고 진동운동을 계속 하기도 한다. 스티니코프 천체는 나비의 날개짓이 태풍을 만들 수 있다는 카오스 이론의 아주 좋은 예다.미국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
과학동아
l
201505
중성자로 변하면서 양전자가 튀어나온다. 문제는 보관이다. 양전자는 1마이크로초(
100
만분의 1초)도 안 돼서 전자와 반응해 감마선을 내며 사라진다(쌍소멸). 전자와 만나지 않게 진공상태에서 자기장, 전기장을 걸어 실린더 안에 보관할 순 있다(페닝 트랩). 하지만 통 안에 저장할 수 있는 양전자 ... ...
[과학뉴스] 하수처리장에서 금 캔다
과학동아
l
201505
재사용할 수 있는 금속이 700mg이상 들어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시민
100
만 명 당 매년 1300만 달러(143억6630만 원)를 흘려 버리고 있는 셈이다. 그는 “바이오 고형물에 포함된 금속은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이라며 “경제적으로 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을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
수학동아
l
201505
것이 절대 아니예요. 러시아 사진작가인 안드레이 파블로프는 개미가 움직이는 모습을 ‘
100
% 리얼하게’ 카메라로 담았답니다. 안드레이는 집 안과 주변 곳곳을 어린이처럼 모험한 끝에, 집 현관으로부터 단 50야드(약 45.72m) 떨어진 곳에서 환상적인 개미나라를 발견했답니다. 안드레이가 환상적인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
수학동아
l
201505
‘데이터마이닝’ SW도 중요하다. 수천 명의 유전 정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최소
100
만 GB(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SAS의 ‘엔터프라이즈 마이너’, 오픈 소스 기반의 ‘R’을 활용할 수 있다.SW는 1% 수준의 유전자 돌연변이도 정확하게 찾아낸다.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0이면 교체해야 함)□ 옥내소화전을 열어 호스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점검한다.□ 집 주변
100
m 이내에 옥외소화전이 있는지 찾아본다.□ 3~10층에서 비상 탈출을 돕는 완강기를 찾아본다.□ 빌라나 아파트에 사는 경우 비상계단의 위치를 확인한다.□ 아파트 방화문을 찾아 주변에 있는 물건을 치운 뒤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
수학동아
l
201504
있었지만, 지금처럼 둥근 빵 사이에 두툼하고 기름진 패티를 끼워 먹기 시작한 건
100
년 전쯤의 일입니다.당시 미국은 빠르게 변하고 있었습니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수많은 젊은이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향했습니다. 배움이 짧던 그들이 할 수 있는건 주로 거친 노동일이었습니다. 동시에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
과학동아
l
201504
물방울
100
만 개 중 하나에는 반드시 1개/nL 농도의 바이러스가 있다. 처음(1개/mL) 보다
100
만배나 진한 농도다. 이런 식으로 큰 물을 작은 물로 잘게 쪼개면, 낮은 검출 성능으로도 민감하게 목표를 찾아낼 수 있다.표면전하도 작은 물을 가만두지 않는다. 물질의 내부와 외부는 전기적 준위가 다르기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4
발생하면 그때그때 방제하는 데 예산을 집중시킬 계획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이 발병한 지
100
여 년이 된 일본은 이미 신사 등 주요 지역을 이렇게 특별 방제하고 있다.천 년의 푸르름 되찾을 수 있을까과연 한반도는 소나무재선충병을 잡을 수 있을까. 얼마 전 일본의 재선충병 전문가가 경주와 김해를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4
60% 이상 증가한다. 특히 수도권•강원 영동지방은 호우가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100
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거대 홍수의 강수량은 20% 증가해 현재 지어진 제방의 홍수방어능력은 절반으로 줄어든다.무서운 물의 역습에 가만히 앉아서 당할 수밖에 없는 걸까. 다음 파트에서 ‘똑똑한 물’로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