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나의 첫 반려 로봇?! 보행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 조립 후 다시 분해하기가 어렵거든요. 로봇을 완성하고 리모콘을 연결하면 모터의 회전 방향을 조작할 수 있어요. 덕분에 다리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뒤로 걷거나, 집게를 오므렸다 펼 수 있답니다. 알아보자!4족 보행 로봇의 진화 바퀴가 달린 자동차는 평평한 땅에서 ... ...
- 수콤달콤 연구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꼽은 초등수학 내용을 달콤하게 바꿔 드려요. 이번 주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연결되는 ‘규칙’이에요.수학뿐 아니라 컴퓨터 분야에서도 중요한 규칙을 그림으로 재밌게 알아봐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수콤달콤 연구소Part2. 그림으로 보는 수학 │수의 배열에서 쏙쏙 규칙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해결책을 떠올린다. 반면 부품 수급이 어려운 북한에서는 이런 문제를 컴퓨터 여러 대를 연결하는 등 또 다른 기술로 해결한다.북한에서는 현재 ‘쌀 한 톨이라도, 조각 천이라도’라는 표현이 쓰인다. 재자원화에 몰두하고 있는 북한의 정체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표현이다. 재자원화는 재활용과는 ... ...
- [과동키즈] 모두가 함께할 지구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내가 공학을 배경으로 개발협력 분야에 뛰어든 이유다. 환경, 공학 그리고 개발협력의 연결고리가 되다개발협력이란 지구촌에 살아가는 모든 사람의 행복을 위한 동반성장 프로젝트라 생각한다. 기술이나 정책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개발도상국의 성장과 함께한다. 그리고 이런 국가들과 장기적인 ... ...
- [기획] 키메라가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미 오래전부터 농업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어요. 서로 다른 식물의 줄기나 가지를 연결해서 하나의 개체로 만드는 ‘접붙이기’를 이용해 각각의 장점을 모두 가진 식물을 만드는 거예요. 그럼 접붙인 두 식물이 상호작용하며 과일의 품질이 좋아지거나 병충해에 강해지는 등 새로운 능력을 갖게 ... ...
- 컴퓨터 없이 코딩한다! 쪼물락 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명령하는 시작 블록을 처음에 두고, 이어서 이동하기 블록이나 LED를 켜는 블록 등을 연결해 브레인 블록과 조립하면 쪼코를 움직이게 하거나 LED를 켜고, 소리를 내게 할 수 있답니다. 미션! 쪼코 로봇이 책상을 청소하도록 하려면? 네모난 쪼코는 보기엔 작아 보여도 특별한 센서들을 다양하게 ... ...
- [기획] 노벨화학상, 비대칭 분자를 만드는 정확한 도구를 개발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머리, 다리, 몸통을 마구 연결한다면 결과물은 처참할 것이다. 올바른 위치에 각 부분을 연결해야 비로소 우리가 알고 있는 곰 인형 모양이 나타난다. 분자를 만드는 과정도 마찬가지다. 원하는 형태의 분자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그 재료인 원자를 잘 이어줄 도구가 필요하다. 올해 노벨 화학상은 ...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한 권에 담았다. 기억과 의식의 본질까지 다루기 시작한 현재의 뇌 과학과, 커넥톰(뇌연결망지도)을 비롯해 앞으로 뇌 연구가 직면한 문제도 살펴본다. 뇌는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진 모든 물체 가운데 가장 복잡한 존재다. 두툼한 책의 마지막 장에 닿으면 깨닫게 될 것이다. 여전히 우리는 뇌에 관해 ... ...
- [특집] 무한을 셀 수 있다고? 마법의 일대일 대응수학동아 l2021년 11호
- 1을 짝수 2, 자연수 2를 짝수 4와 연결해 보세요. 이같이 자연수에 2를 곱한 짝수들과 연결하면 자연수와 짝수 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만들어지겠죠? 짝수뿐만 아니라 홀수, 정수, 유리수 역시 자연수와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므로 모두 크기가 같으며, 이런 집합을 ‘셀 수 있는 무한집합’이라고 ... ...
- [특집] 연속체 가설은 거짓? 끊임없는 수학자들의 공격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가설을 연구했던 건 2012년이에요. 그때부터 저와 쉰들러 교수는 우딘과 마틴 최대 공리를 연결 지으면 연속체 가설이 거짓임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생각만큼 되지 않았고, 그 뒤로 몇 년 동안은 잊고 지냈죠. 그러다 2017년 즈음에 어떤 정리를 증명하려고 정리해 뒀던 아이디어들을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